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문창극, '역사관' 이어 '셀프 급여' 논란 제기

<앵커>

문창극 총리 후보자 관련 소식입니다. 문창극 후보자가 자신이 부회장으로 있는 총동창회 예산으로, 초빙교수 급여를 받은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역사관에 이어, 이번에는 도덕성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이 사과할 필요가 없다는 과거 칼럼에 대해선,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비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진송민 기자입니다.

<기자>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는 오늘(14일)은 출근하지 않고 휴식을 취했지만, 여야의 입씨름은 계속됐습니다.

새누리당은 인사청문회에서 검증하면 된다고 주장했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은 자진 사퇴가 해법이라고 맞섰습니다.

[함진규/새누리당 대변인 : 인사청문회 절차도 밟지 않고 여론몰이식 재판으로 후보직에서 물러나라고 주장하는 것은 국회를 무력화시키는 것이며…]

[허영일/새정치민주연합 부대변인 : 민족성을 매도하고 정신이 타락한 국무총리는 석연치 않은 재산증식의 국무총리보다 더 자격이 없습니다.]

정부가 모레 인사청문요청서를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어서 인사청문회에서 여야가 격돌할 것으로 보입니다.

최대 쟁점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의 사과가 필요 없다는 신문 칼럼과 강의 등에서 나타난 문 후보자의 역사관과 국가관 문제입니다.

[김복동/위안부 피해 할머니 : 총리 나올 사람이 그런 망언을 하니 일본이 얼마나 좋아하겠나…]

이른바 셀프 급여 논란도 제기됐습니다.

문 후보자가 지난 1월부터 총리 후보로 지명되기 전까지 서울대 초빙교수 급여와 연구실 임대료로 3천만 원 정도를 자신이 부회장으로 있는 서울대 총동창회에서 받았다는 겁니다.

문 후보자 측은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고, 해당 학과의 한 교수는 학생들을 위해 경험 많은 언론인을 초빙하는 비용을 총동창회가 마련해줘서 반가웠다고 말했습니다.

(영상취재 : 임우식, 영상편집 : 남 일, 화면제공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