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재난 수준의 폭설…국가 차원 관리 시급

<앵커>

아직도 고립된 산간마을이 있고, 노약자와 장애인의 인명피해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허술한 긴급구호체계를 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엄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가다 보면 막히고, 또 막히는 길에 차를 돌리기 일쑤입니다.

고립된 마을마다 길 내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속도는 더디기만 합니다.

이곳은 원래 차가 다니는 길이지만, 지금은 이렇게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습니다.

마을 주민들이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길이 뚫리기만 기다리는 수밖에 없습니다.

눈에 막혀 고립된 주민들은 하루하루가 힘겹습니다.

[김청주/고립마을 주민 : 예전보다는 식량도 많이 떨어지고 해서 불편한 게 있습니다. 길이 뚫릴 때까지 기다리고 있습니다.]

폭설에 노약자나 장애인들은 치명적인 사고를 당합니다.

삼척시에서는 어제(16일) 40대 장애인이 눈 속에 파묻혀 동사한 채 발견됐습니다.

이런 인명피해 예방을 위해 복지부는 재작년 고립 예상지역 339곳에 마을회관 등을 임시대피소로 활용하도록 지시했습니다.

하지만 정부와 지자체 간에 운영 책임을 떠넘기면서 올해는 아예 운영 지침에서 빠져버렸습니다.

[마을 주민 : 여기 같은 경우도 대피소라는 게 따로 없고, 마을노인분들은 옛날 집이다 보니까 집이 많이 약하잖아요. 위험하다고 며칠 있고 그렇죠.]

고립지역 노약자에 대한 전화점검과 구호물자 전달 체계에 대한 불만도 쏟아지고 있습니다.

재난 수준의 폭설 수습을 지자체에게만 맡겨둘 게 아니라 국가 차원의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승태, 영상편집 : 박선수, 영상제공 : 임민재(고립마을 주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