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보조금 '물밑' 전쟁…제값 낸 소비자만 '분통'

<앵커>

휴대폰 보조금 구조는 불투명합니다. 스마트폰을 100만 원 가까이 할인받고 사는 사람도 있지만, 제 값 다 주는 소비자도 있죠. 한도를 넘어서는 불법보조금 지급은 아주 은밀하게 이뤄집니다.

유성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최신 스마트폰을 80만 원 이상 깎아준다는 인터넷 광고에 수백 명이 새벽부터 장사진을 이뤘습니다.

이른바 '2.11 대란'입니다.

통신사를 옮겨서 일정 기간 머물면 100만 원 안팎인 스마트폰은 공짜고, 현금까지 얹어주겠다는 판매자까지 나온 겁니다.

[스마트폰 판매자 : 6월 1일까지 (가입)유지하면 페이백(환급)이 56만 4천 원 들어가고요, (기기값) 13만 9천 원 빠진 금액 42만 5천 원 넣어 드려요.]

하지만 정부 지정 27만 원 한도를 훌쩍 뛰어넘는 이런 보조금 살포는 아주 은밀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보조금이 얼마나 되는지 '단말기 할부 원금'을 알아보려 해도, 인터넷에서조차 쉽지 않습니다.

자동 녹음 전화를 이용하거나,

[전화 녹음 : 문의하신 상품의 가격은 1번 모델 49,500원, 2번 모델 79,900원입니다.]

잠깐만 개설됐다가 순식간에 삭제되는 폐쇄형 SNS를 활용해서 정보를 주고받기 때문입니다.

신고나 단속을 피하기 위해서입니다.

[(갤럭시 S4는 얼마에 살 수 있어요?) 녹음해서 신고하는 분들이 있어서 유선전화로는 안내를 안 드리고 있어요.]

결과적으로 할인 정보에서 소외된 사람들이 제 값 다 내고 사면서 할인 정보 접근에 능숙한 사람들을 위해 부조하는 셈입니다.

[구미자/서울 양천구 목동서로 : 우리같이 나이 먹고 모르는 사람들은 비싸게 사고, 정보를 빨리 접할 수 있는 사람들은 싸게 살 수 있고, 이러한 불공정함이 있어서 많이 억울하고….]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동통신사들이 시정명령을 무시한 채 불공평한 보조금 영업을 계속하고 있다며 강력제재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김영창, 영상편집 : 우기정, VJ : 오세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