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주유구 여는 순간 불이 '펑'…정전기가 원인

셀프 주유소 정전기 방지패드 사용자 적어

<앵커>

운전자가 직접 기름을 넣는 셀프 주유소. 값이 싸서 많이 찾지요. 그런데 겨울에는 조심하셔야겠습니다. 주유할 때는 정전기가 잘 발생하는 데 주유원 대신에 운전자 본인이 직접 기름을 넣다 보니 자칫 폭발사고로 이어지기가 더 쉬운 겁니다. 실제 이런 일이 벌어졌습니다.

류 란 기자입니다.



<기자>

셀프 주유소에 승용차 한 대가 들어섭니다.

운전자가 차에서 내린 뒤 차 주유구를 여는 순간, 갑자기 커다란 불꽃이 일어납니다.

원인은 운전자 몸에서 발생한 정전기였습니다.

건조한 겨울철, 옷이나 목도리 등의 마찰로 몸에 쌓여 있던 정전기 전하가 주유구를 열 때 새어나온 기름 증기에 방전되면서 폭발한 겁니다.

[박상열/주유소 직원 : 불씨가 남아 있나 보니까 벌써 없는 상태고, 손님도 많이 놀라셨고 저희도 그런 일이 없다가 있으니까 놀랐죠.]

다행히 다친 사람은 없었지만, 미국에서는 자동차 폭발이나 큰 화재로 이어지는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실험해 봤습니다.

옷을 마찰시키자 1만 볼트가 넘는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휘발유 증기가 든 유리관에 비슷한 전압의 정전기를 발생시켰더니, 폭발음과 함께 불꽃이 터져 나옵니다.

[정재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 사람의 몸에서 나오는 정전기, 의복에 있는 정전기, 이런 정전기에서도 충분히 착화돼서 폭발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정전기 때문에 폭발이나 화재가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셀프 주유소의 모든 주유기에는 정전기 방지 패드가 붙어 있습니다.

주유하기 전에, 이 패드에 손을 갖다 대면 몸 안에 쌓여 있던 정전기가 대부분 빠져나가게 됩니다.

운전자들은 이런 장치가 있다는 걸 알고 있을까? 한 셀프 주유소에서 지켜봤습니다.

대부분, 차에서 내리자마자 팔을 뻗어 주유구부터 엽니다.

1시간 동안 41대의 차가 이 주유소에서 주유했는데, 정전기 패드를 이용한 운전자는 단 두 명뿐이었습니다.

정전기 방지 패드 옆에는 안내문이 붙어 있지만 잘 읽지 않는 겁니다.

[셀프주유소 이용자 : 습관이 이렇게 돼 있는데, 저는. 그럼 어떤 것부터 해야 해요? 사용 전 반드시 정전기 패드 터치? 그냥 주유구부터 여는데. 이거 안 읽게 되고요.]

[셀프주유소 이용자 : 몰랐습니다. 주유구부터 열어서 불났다는 건 못 들어봤습니다.]

2011년 352개였던 셀프 주유소는 최근 1,365개까지 늘어나, 전국 주유소의 10%가 넘습니다.

건조한 겨울철엔 운전자들은 주유하기 전에 정전기 방지 패드를 반드시 이용하고, 주유소도 이를 적극적으로 안내할 필요가 있습니다.

(영상취재 : 오영춘·이병주, 영상편집 : 박춘배, 화면제공 : 유튜브)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