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건당 500원" 팔려나간 '내 정보' 범죄에 악용

<앵커>

분명히 이것을 필요로 하는 데가 있으니까 개인정보 유출이 끊이질 않는 겁니다. 내 정보가 은밀한 거래를 통해서 제 3자에게 넘어가면 그 다음부터는 어떤 범죄에 악용될 지 무방비로 당할 수 밖에 없습니다.

김현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작장인 박 모 씨는 두 달 전 전화 대출 사기를 당했습니다.

낮은 금리로 돈을 빌려 주겠다는 전화에 속은 겁니다.

시키는 대로 기존 대출금 5천만 원을 입금하고 약속한 대출을 기다렸지만 이후 연락이 끊겼습니다.

자신의 은행거래 정보까지 알면서 은행 직원을 사칭하는 전화를 믿은 게 화근이었습니다.

[박모 씨/대출 사기 피해자 : 은행의 제 정보를 보고 전화를 했다고 하니까 일단 전화를 받은 거죠. 이제 월급을 받으면 제 용돈도 안 남고, 다 빚 갚는 데만 써야 해요.]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대출 사기 피해액은 지난해에만 787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5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한 건당 평균 피해액도 갈수록 커져 490만 원에 이릅니다.

개인 금융정보가 유출된 뒤 범죄에 악용되는 겁니다.

[금융사 대출모집인 : 연체가 됐었는지 안됐었는지 얼마를 갚았는지 안 갚았는지 다 나와요. 금리가 좀 높은 사람을 100% 목표로 잡아서 움직이는 거죠.]

유출된 개인정보는 대출 모집인과 대부 중개업자들 사이에서 건당 50∼500원에 거래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거래 과정을 추적하기가 어렵다 보니 개인정보 불법 유출은 근절되지 않고 있습니다.

[임종인/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장 : 텔레마케팅 업체부터 해서 대부업체, 곳곳에서 개인정보에 대한 수요가 참 많습니다. 중요한 어떤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으로 보는거죠.]

금융사들의 보안 시스템 강화도 중요하지만 정보 유출을 유혹하는 불법 거래를 차단할 수 있도록 강력한 단속과 처벌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이재영, 영상편집 : 김호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