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품절입니다"…인기 성탄 선물은 '하늘의 별따기'

<앵커>

아이들 크리스마스 선물로 몇몇 인기 장난감이 말 그대로 없어서 못 팔 정도입니다. 미리 많이 만들어 놓으면 좋지 않겠나 싶은데 그게 아이들 유행 따라가기가 쉽지 않아서 그러지도 못한다는 겁니다.

김종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요즘 장난감 가게마다 문의 전화가 빗발칩니다.

인기 있는 장난감을 찾는 전화입니다.

[((장난감이) 오늘 들어온다고 했는데 들어왔나요?) 아니요, 안 들어왔어요. 죄송합니다.]

장난감 하나 사기가 정말이지 하늘의 별 따기 만큼이나 어렵습니다.

먼 길도 마다 않고 온 손님은,

[(소방차 (장난감 주세요.)) 품절입니다.]

없다는 말에 울먹이기까지 합니다.

[지금 시흥에서 여기까지 왔어요, 경기도 시흥에서. 이 시간에 오면 꼭 주겠다고 해서 온 건데.]

이때 판매원이 마지막 남은 재고를 찾아서 건네자 고맙다는 인사가 넘칩니다.

[아 있다, 있다! 너무 좋아요.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진짜 말 그대로 눈코 뜰 새 없이 돌아가고 있습니다.

재작년에 이곳도 한번 품귀 현상을 경험한 터라 올해는 비상이 걸려서 이런 장난감을 하루에 3000개씩 찍어내고 있지만, 여전히 시중에선 제품이 없어서 못 팔 지경이라고 합니다.

인기 있는 장난감을 왜 미리 만들어두지 않고 이렇게 뒤늦게 부랴부랴 만드는 걸까? 아이들의 유행 때문입니다.

아이들은 유행에 민감해 특정 장난감으로 쏠리는데, 이 유행이라는 게 크리스마스가 다가와야 뭔지 알 수 있는 겁니다.

예측 자체가 어렵다 보니 미리 대량 생산을 해 놓을 수가 없습니다.

[조종혁/인형 제조업체 팀장 : (아이들은) 자기가 좋아하는 장난감도 거의 매달 계속 변하거든요. 그러니까 그걸(유행을) 따라가지 못하는 거죠. 당연히 수요 예측도 안 되고요.]

반면에 유행을 맞추지 못한 대부분의 장난감은 떨이로 내놔도 팔리지 않고 있습니다.

장난감 시장의 이런 특성 때문에 보채는 아이 선물 장만하느라 부모들이 애를 태우는 일은 해마다 반복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주 범·김학모·김현상, 영상편집 : 박춘배·김초아, VJ : 유경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