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접수 끝나면 '나 몰라라'…어학시험 횡포 바뀐다

<앵커>

요즘 취업 준비에 공인영어시험 점수는 필수입니다. 그래서 지난해 토익과 토플 같은 어학 시험 응시자가 300만 명을 넘었습니다. 그런데 시험 주관사가 응시료 비싸게 받고 환불도 잘 안 해주는 횡포를 부리고 있습니다. 수험생들은 당장 점수가 급하다 보니 울며 겨자 먹기입니다. 공정위가 나섰습니다.

임태우 기자입니다.



<기자>

토익이 어학시험 부동의 1위를 차지하게 된 건 1990년대부터 대기업 입사에 활용됐기 때문입니다.

응시료가 비싸고, 환불 규정이 불리하다는 불만이 꾸준히 제기돼왔지만, 10년 넘게 흐른 지금도 바뀐 건 하나도 없습니다.

[권지담/토익 응시생 : 지금 일반 응시료는 4만 2천 원이고요. 추가 접수는 4만 6천 200원인데 계속 봐야 하는 학생 입장에서는 절대 작은 돈이 아니거든요.]

[박솔희/토익 응시생 : 제일 이해가 안 되는 건 재발급 할 때 비용이 든다는 거에요. 비용이 뭐 500원 1,000원도 아니고 3천 원이 들거든요, 한 장 발급받는데.]

이런 불만에도 응시료는 지난 10여 년간 물가 상승률을 웃돌며 60% 이상 뛰어올랐습니다.

문제는 토익이 이젠 졸업과 취업, 이직, 승진 등 워낙 광범위하게 쓰이면서 대안을 찾기 어렵게 된 점입니다.

시민단체들은 토익이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응시생들에게 피해를 끼치고 있다며 집단소송을 내기로 했습니다.

[한지혜/청년유니온 위원장 : 계속 부당하게 높아가고 있는 응시료 부분이나 아니면 특별 추가 접수 기간이라고 해서 더 많은 응시료를 받고 있는 이런 구조적인 부분들을 소송을 제기 한 거죠.]

공정위도 토익과 토플 등 어학 시험 7종에 대해 접수 뒤 일주일 안에 취소하면 전액을 돌려주도록 시정조치를 내렸습니다.

(영상취재 : 김민철·이정택, 영상편집 : 김초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