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접점 찾기 어려운 밀양 송전탑 공사…왜?

<앵커>

지난 6년 동안 11차례나 중단과 재개를 반복한 공사입니다. 주민 피해 주장과 송전탑의 필요성 사이에 접점 찾기가 어렵습니다.

김태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내년 여름 완공되는 신고리 원전 3, 4호기.

여기서 생산되는 280만 kW의 전력을 경남 창녕의 변전소로 보내 주변에 전기를 공급하게 됩니다.

이를 위해 원전이 있는 기장군에서 창녕 변전소까지 5개 시군에 걸쳐 송전탑 161기를 세우는 공사가 6년 전 시작됐고, 현재까지 밀양 이외 지역 109기는 완공됐습니다.

문제의 밀양 구간 52기는 현재 착공만 한 상태.

밀양 송전탑을 못 세우면 3조 원 들여 건설한 원전을 전력난이 뻔한 내년 여름에도 가동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송전탑이 동네와 너무 가까워 전자파 피해가 우려되고 집이나 땅도 팔리지 않는다며 공사를 막고 있습니다.

[김기업/밀양 송전탑 반대 주민 : 이 토지는 마지막 버팀목이면 최후의 나를 지켜주는 통장인데 이것을 잃어 버린다면…]

한전 측은 주민 편익을 최대한 반영했다는 입장입니다.

[백수현/동국대 교수 밀양 송전탑 전문가협의체 위원장  : (전자파)국제 기술기준에 의해서 맞춰서 (공사)하는 겁니다. 그리고 민가가 있으면 민가를 다 빗겨가면서 (송전탑) 설계를 한 겁니다.]

한전은 지난달 밀양 지역 1천800여 가구에 각각 400만 원씩 지급을 제안했지만 상당수 주민들은 요지부동입니다.

한전과 정부는 이른바 '밀양법'을 통해 충분히 보상하겠다고 했지만 법은 여전히 국회 계류 중입니다.

주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현실적 보상 방안과 갈등을 줄여가는 합의방법, 또 공익을 중시하는 시민의식 등 세가지 요소 모두의 부재가 지금의 사태를 낳은 것입니다.

(영상편집 : 박선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