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부 "가급적 많은 상봉 추진…장소는 유연하게"

<앵커>

정부는 중단 3년 만에 이산가족 상봉이 재개될 경우에, 이번부터는 가능한 많은 이산가족이 만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입니다.

김수형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000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본격화된 이산가족 상봉은 2010년 11월까지 18차례에 걸쳐 이뤄졌습니다.

2007년까지는 매년 1~2차례씩 꾸준히 진행됐지만, 한 번에 남북 각각 100가족씩 만나는 게 관례였습니다.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가 7만 2천여 명이나 되는 만큼, 이런 속도라면 100년이 지나도 상봉이 모두 이뤄지기 힘든 상황입니다.

특히 신청자중 80% 이상이 70대이상으로 정부는 가급적 많은 수의 이산가족이 만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입니다.

상봉 장소를 어디로 할 것인지도 관건입니다.

지난 2002년 4차 상봉 이후 금강산으로 상봉장소가 사실상 단일화됐지만, 정부는 보다 유연하게 접근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정부 당국자는 서울과 평양에서 번갈아 상봉하는 방안을 포함해 여러가지 경우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상봉시기를 놓고 일단 추석을 전후해 상봉이 이뤄져야 한다는데 남북 모두 같은 입장입니다.

다만 추석이 한 달 밖에 남지 않은데다 상봉 후보자 명단을 교환하고 대상자의 생사확인을 거치다 보면 시기가 다소 늦춰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이승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