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전두환 추징금 환수 16년 만에 속도전…왜?

<앵커>

이렇게 전두환 전 대통령의 숨겨놓은 재산을 찾기 위해 속도전이 벌어지고 있습니다만, 추징금이 확정된 건 벌써 16년 전입니다. 왜 이제서야 속도가 붙었을까요?

남승모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전두환 전 대통령은 지난 1997년 4월, 무기징역과 함께 추징금 2205억 원을 선고받았습니다.

재판 직후 312억 원이 추징됐지만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를 거치면서 16년 동안 추가 추징된 돈은 불과 221억 원.

아직도 1672억 원이나 미납된 상태입니다.

군사정권 시절 사형을 선고받았던 김대중 전 대통령은 정치보복 시비를 피하려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고 김대중 전 대통령/1998년 2월 : 국민의 정부는 어떠한 정치보복도 하지 않겠습니다. 어떠한 차별과 특혜도 용납하지 않겠습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에는 전 재산이 29만 원이라는 전 씨 발언이 도화선이 돼, 가전제품과 진돗개까지 압류하기도 했습니다.

[전두환 전 대통령/2003년 2월 : 검사가 조사를 해가지고 없으니까 못 가져간 거 아니야. 마당에 숨겨놓은 게 있으면 마당 와서 파보면 되잖아. 그때 (검찰이) 조사할 때 말이야.]

이명박 정부 시절 300여만 원에 그쳤던 추징 작업은 현 정부 들어 이른바 전두환 추징법이 통과되면서 다시 속도를 내고 있는 겁니다.

[박근혜 대통령 : 역대 정부가 해결 못하고 이제서야 새 정부가 의지를 갖고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

5공 시절, 박정희 전 대통령 시대가 부패한 시대로 매도됐다며 박근혜 대통령이 배신감을 토로한 바 있습니다.

그런 악연도 작용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일부 제기되지만 청와대는 검찰의 엄정한 법집행일 뿐이라며 선을 그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