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저축은행 고리대출 수렁…빚더미 앉은 대학생

<앵커>

고리 대출을 이용했다가 빚더미에 오른 대학생들이 늘고 있습니다. 다단계 업체에 발을 디딘 후, 저축은행의 마구잡이식 대출 수렁에 빠진 겁니다.

하대석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기자>

대학 2년생 김 모 양.

이런 전화를 하루에 열 번 이상 받습니다.

[저축은행 추심직원 : 이 빚은 평생 죽을 때까지 다 가져가는 거예요.]

빚 독촉 문자메시지도 하루에 30-40건씩 뜹니다.

[김 모 양 : 죽고 싶고 별생각을 다 하고 그러니까…]

김 양이 연체한 빚은 1300만 원.

가정형편이 어려워 휴학하고 한 다단계 업체에 발을 디딘 게 화근이었습니다.

[김 모 양 : 언니들이 물건 사야 된다고 1000만 원이 필요하다고 그래서 (대출)했죠.]

대출은 지난 1월 다단계업체가 알려준 전화 한 통화로 해결됐습니다.

[김 모 양 어머니 : 전화 한 통화로 이런 돈을 빌려줬다는 거는 이건 세상에 이런 일이 있을 수가 없는 거예요.]

김 양이 진 빚의 이자는 연 34%.

돈을 빌려준 곳은 다름 아닌 저축은행이었습니다.

상환 능력도 확인 않고 대학생에게 사채 수준의 고리로 빌려준 겁니다.

[해당 저축은행 담당자 : 빚이 10억 있는 의사한테도 (대학생과) 똑같이 600만 원에 연 34%로 나갑니다. 리스크(위험도)가 높게 책정된 상품이기 때문에 고금리에 나가는 거죠.]

대부업체나 음성적인 사채업자들이나 하던 대학생 상대 고리 대출에 저축은행들이 뛰어든 겁니다.

[조남희/금융소비자원 대표 : (저축은행들이) 영업정지(사태) 이후에 기업대출의 출구가 막히다 보니까 서민이나 대학생들한테 무분별하게 약탈적으로 대출하는 관행이 만연돼 있습니다.]

최근 저축은행들은 전체 대출의 80% 이상을 전화 한 통화면 되는 이런 사채업자식 대출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박영일·정성화·우기정, 영상편집 : 정민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