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끝없는 일본 정치권 망언, 그 추악한 뿌리는?

<앵커>

이렇게 잇따르는 망언의 뿌리는 뭔지 또 대책은 없을지 방문신 국제부장이 짚어봤습니다.



<기자>

위안부 문제를 처음 이슈화한 것은 일본의 진보 진영입니다.

구 일본군 출신 요시다의 80년대 증언을 시작으로 일본내 좌파 정당과 진보 언론이 주도했다는 사실, 우리나라 보다 일본 책에 먼저 실렸다는 사실은 우리에게는 불편한 진실일 수 있습니다.

일본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사과한 것은 1993년 당시 관방장관의 이름을 딴 고노 담화라는 내용의 사과문이었습니다.

일본 우익의 반발은 이미 이때부터 조직화됐습니다.

좌파의 자학사관, 애국심 없는 일본인들의 한국 추종이라는 논리를 내세웠습니다.

당초 한국도 몰랐던 문제다, 강제연행의 증거도 없다는 일관된 망언은 다 이런 뿌리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아베 총리/2007년 3월 : 종군위안부의 강제성을 증명할 증인이나 증거는 없습니다.]

본질적 대책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국제사법재판소와 형사 재판소에 제소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나 국제사법재판소는 제소하는 쪽과 제소당하는 쪽, 양쪽이 모두 응해줘야 가능한데 일본이 이를 수용할리가 없습니다.

국제 형사재판소 역시, 2002년 설립 이전의 범죄는 다루지 않는다는 규정 때문에 쉽지 않습니다.

남는 것은 국제 여론을 통한 압박입니다.

유엔은 98년 제출된 맥두걸 보고서, 쿠마라스와미 보고서를 통해 이미 일본의 법적 책임과 보상을 명문화했습니다.

일본은 역사문제에 관한 한 친구가 없기 때문에 미국의 반응에는 극도로 예민합니다.

기세등등하던 아베 총리나 하시모토 시장도 미국 내 분위기가 싸늘할 때는 어김없이 꼬리를 내렸습니다.

[아즈하리/아라비아TV 도쿄 특파원 : 미국이 화를 내고 있기 때문에 자신이 곤경에 빠진다고 생각해 발언을 철회한 것이죠.]

위안부 망언에 우리 정부가 논평 같은 소극적 대책만 내놓을 게 아니라 실제 일본이 두려워할 국제사회 공조대책을 적극 찾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