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알바하려면 옷 사라"…글로벌 의류업체의 횡포

<앵커>

글로벌 의류 업체 유니클로가 아르바이트 직원에게 유니폼을 직접 사 입으라고 강요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일하려면 시간 당 임금의 열 배도 넘는 옷을 울며 겨자먹기로 사라는 겁니다.

이경원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기자>

유명 글로벌 의류 브랜드 매장입니다.

옷을 정리하는 아르바이트생들, 입고 있는 옷에 공통점이 있습니다.

[아르바이트 생 : (다른 브랜드 입어도 돼요?) 유니클로만 입어야 돼요. 유니클로 옷이면 아무것이나 상관 없어요.]

일본계 기업인 이 매장은 사람도 걸어 다니는 광고탑이라는 철학을 내세워, 아르바이트생도 자기 브랜드 옷을 입고 일하게 합니다.

그런데, 유니폼은 아르바이트생들이 직접 돈을 주고 구입한 것들이었습니다.

아르바이트생들은 회사가 사원에게 유니폼 비용을 전가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아르바이트생 : 돈 벌러 왔는데 옷 사 입어야 하고. 학교 다니면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그러다 보니까 조금 부담스러워 하는…]

아르바이트 시급은 5천500원 선.

상하 한 벌에 최소 6~7만 원이니까, 30% 직원 할인을 받더라도 10시간은 일해야 하는 액수입니다.

논란이 일자 업체는 첫 입사자에 한해서만 상하 한 벌씩 지원하는걸로 정책을 바꿨지만 불만은 여전합니다.

[아르바이트생 : 시즌별로 옷이 나오다 보니까 그것을(옛날 것을) 입으면 고객들이 "이 옷은 어디 있어요?" 물었을 때 난처할 수 있는 상황이 있고, 높으신 분들이, 점장님이나 오시면 이건 너무 오래된 옷이니까 입지 말라고….]

다른 브랜드는 아르바이트생들에게 유니폼을 여러 개 지급하거나 자유 복장을 허용합니다.

매장 측은 직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유니클로 관계자 : 직접 (유니폼을) 사서 입고 근무를 해야 하거든요. 아르바이트생들이(직접 사는 것을 선호해) 지급한 옷을 입고 안 나오는 경우도 있고….]

울며 겨자 먹기로 내 돈 주고 일해야 하는 아르바이트생들.

지난해 이 브랜드 매출액은 5천억 원으로, 한국 진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영상편집 : 이준영, VJ : 이승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