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반한 시위 규제하자" 일본 내부 분위기 반전

<앵커>

과격한 반한 시위에 반대하는 일본 내 움직임이 처음에는 몇몇 양심적인 인사들의 외침에 그치는 것 아니냐 이런 생각도 들었는데 갈수록 힘을 얻고 있습니다. 이젠 반한 시위를 인권 차원에서 규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습니다.

도쿄 김승필 특파원입니다.



<기자>

욱일승천기를 앞세운 우익들의 반한 시위, 일본을 떠나라는 민족 차별적인 시위 구호.

이런 구호를 바라만 보던 일본 내에서 이들을 향한 자성의 쓴소리가 본격화됐습니다.

[친한 시위대 : 일본의 수치다.]

도쿄는 물론 오사카에서도 친한 시위대가 반한 시위대를 압도하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특히 우익들의 구호가 보편적 인권에 저촉된다는 인식이 확산된 게 분위기를 많이 바꿨습니다.

['반한시위'반대 활동가 : 모두 어울려서 즐겁게 보내는 곳에서 모두가 싫어하는 행동을 하는 게 이해가 안됩니다.]

하지만, 문제는 일본 당국이 이 한인타운에서의 반한시위를 계속 허가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반한 시위를 법으로 규제할 수 없다는 게 일본 경찰의 입장이지만, 일본은 지난 1995년 유엔의 인종 차별 철폐조약에 가입했습니다.

일본 변호사 단체들은 이 조약을 근거로 반한 시위를 규제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우쓰노미야/전 일본변호사협 회장 : 차별철폐조약에 인종차별은 허락하지 않고 있습니다. 국제인권조약에도 위반되는 행동입니다.]

일본의 한 스포츠 신문은 한인타운에서의 반한 시위가 자칫 2020년 도쿄올림픽 유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반한 시위가 인권문제로 비화되고 자발적인 대응이 확산되면서 일본의 분위기는 눈에 띄게 달라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한철민, 영상편집 : 안병욱)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