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단속정보 미리 입수"…잡히지 않는 불법도축

<앵커>

도축 시스템이 얼마나 엉망인지 이미 SBS뉴스를 통해 고발 보도해드린 적이 있습니다만 단속은 여전히 안 되고 있었던 겁니다. 단속한다는 정보까지 줄줄새서 '눈가리고 아웅'이었습니다.

이어서 엄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소가 죽거나 병들어 쓰러지면 축산업자는 큰 손해를 보게 됩니다.

소 한 마리 값에 사료 값과 인건비 등을 감안하면 최소한 500만 원이 넘습니다.

불법인 줄 알면서도 몰래 도축하는 이유입니다.

[도축업자 : 주저앉은 소는 단지 주저앉았을 뿐인데 그것을 잡는 것이 (매장하는 것보다) 업자들 쪽에서는 굉장히 유리하니까… ]

허술한 정부 단속이 문제입니다.

지난달 위생이 불량한 도축장 실태가 SBS 뉴스로 보도된 뒤 농림수산식품부가 전국 79개 도축장의 위생 실태를 점검했습니다.

하지만 적발 실적은 미미했습니다.

단속 정보가 샌 탓이라고 도축업자는 말합니다.

[도축업자 : 다 미리 연락해서, 미리 연락 다 받고 자기네들이 그 안에 (도축장을) 정리하고 그러는 거죠.]

근본적인 문제는 도축검사원이 턱없이 부족하단 겁니다.

한 도축장에서 근무하는 수의사는 평균 두세 명꼴.

하루에 수백 마리의 소를 검사하는 게 불가능합니다.

[경기도 도축 담당 공무원 : 사실상 현재 소는 30두당 검사관이 1명이어야 하 거든요. 350두면 벌써 12명 정도가 붙어야 돼요.]

먹을거리 안전을 위해선 검사원 수를 보강하고 관계 당국의 철저하고 지속적인 단속이 필요합니다.

(영상편집 : 이승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