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2014학년도 선택형 수능 유보하자" 학교 혼란

<앵커>

2014학년도 그러니까 올 연말 수능부터 시험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도가 바뀌었죠. 그런데 반발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시행을 유보하자는 주장까지 나올 정도인데, 이들의 목소리를 들어 보겠습니다.

김경희 기자입니다.



<기자>

오는 11월 치러지는 수능시험에서 수험생들은 A형과 B형 문제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국영수 3과목에 한해 난이도가 쉬운 A형과 어려운 B형으로 문제가 따로 출제되는 겁니다.

이른바 선택형 수능입니다.

이미 2년 전에 확정 발표됐고 수험생들도 여기에 맞춰 준비하고 있습니다.

[오성근/대교협 입학전형지원 실장, 지난달 10일 : A형의 경우에는 과거보다 쉽게 출제되고 공부범위도 줄어들기 때문에 학습부담은 경감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능 열달을 앞두고 갑자기 선택형 수능 유보론이 불거져 나왔습니다.

연세대와 고려대를 비롯한 9개 주요 사립대가 유보하자는 주장을 들고 나온 겁니다.

당초 취지와 달리 입시가 더욱 복잡해져 사교육 컨설팅에 대한 의존도만 높아질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김윤배/성균관대 입학처장 : 학업역량이 정확히 평가돼서 성적에 반영돼야 하는데 그것이 반영이 안 되고 순서가 바뀌는 거죠. 교육과 전혀 상관없이.]

고등학교 진학 담당 교사들도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나섰습니다.

A형과 B형을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 대학 당락이 결정된다면, 교육 현장에 혼란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입니다.

[이성권/서울진학지도협의회 회장 : 교육현장의 여건을 역시 잘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에 연착륙하기가 매우 힘들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국가 시험으로서의 기본적인 신뢰도와 타당도를 담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유보되는 것이 마땅하다.]

예비 고 3 학생과 학부모들은 이런 논란이 당혹스럽다는 반응입니다.

[김형진/예비 고3 수험생 : 수능체제가 바뀌면서 공부방향을 바꾸느라 힘들었는데 이번에 또 수능체제가 바뀐다면 저희 또 공부하는 데 힘들어 질 것 같습니다.]

[예비 고3 학부모 : 우리가 괜히 희생양이 되는 건 아닌가. 지금 정보도 부족한 상태고 변화에 대한 두려움이 제일 크니까 혼란스럽고.]

교육과학기술부는 입시 제도의 신뢰를 위해 원안대로 강행한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발수위가 만만치 않아서 논란은 계속 이어질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박현철, 영상편집 : 김호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