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급전 필요한 20대男, 태블릿PC 들고 간 곳은?

전자제품 맡기고 급전 대출…'IT 전당포' 눈길

<앵커>

금반지나 시계, 예전에 급전 필요할 때 전당포에 맡기던 물건인데요, 세월이 변해서 요즘엔 태블릿 PC나 스마트폰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른바 IT 전당포입니다.

임태우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상계동의 한 전당포, 20대 남성이 찾아와 귀중품을 맡기고 돈을 빌립니다.

[전당포 손님 : 이제 빼빼로데이도 오고 100일, 200일 (챙겨야 하는) 여자친구도 있으니까 그런 거 준비하다 보면 돈이 부족하기도 하고….]

맡긴 물품은 비싼 귀금속이나 명품이 아닌, 전자제품입니다.

이른바 IT 전당포입니다.

담보로 맡긴 물건들을 보관하는 창고입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김무현/IT 전당포 주인 : 남들한테 손 빌리기 아쉬워하고 남한테 쓴소리 하기 싫기 때문에 직접 와가지고 당당히 받아가시고…]

대출 한도는 제품 중고가의 50~60%선.

이율은 연 36%로, 법정 최고 한도입니다. 대신 돈 빌리기가 쉽고 대출 기록이 남지 않는다는 장점 때문에 급전이 필요한 2, 30대 사이에서 인기입니다.

5년 전 용산 전자상가에서 처음 등장한 이후 서울에서만 현재 10곳 이상으로 늘었습니다.

개인뿐 아니라, 기업으로까지 이용객이 확산되는 추세입니다.

[주홍렬/IT 전당포 주인 : (이건 어디서 온 물건이죠?) 업체에서 자금이 좀 긴급히 융통이 안 돼서 맡겼다가 이용하는 제품입니다. 자금 회전이 빨리 안 되다 보니까, 이런 제품들만 가지고 있으면 빨리빨리 회전이 되는 장점이 있죠.]

가끔 장물 IT 제품이 들어오는 게 문제입니다.

분실 신고 여부와 어댑터와 부속품이 함께 있는지 확인하지만, 100% 장물을 걸러내긴 힘든 실정입니다.

불황 속 호황을 누리는 신종 IT 전당포, 그만큼 서민 경제가 좋지 않고, 대출 문턱이 높은 현실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최준식, 영상편집 : 박선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