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옆집도 지나쳐…도로명 주소 찾기 '진땀'

더 적극적인 교육·홍보 필요

<앵커>

지금 보신 것처럼 도로명 주소 사용, 신통치가 않습니다. 그나마 지금은 기존 주소를 병행해서 쓰고 있는데, 문제는 2014년부터 새 도로명 주소만 써야 한다는 겁니다. 옛 주소로 보내면 우편물 배달 안 됩니다.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권애리 기자입니다.



<기자>

다세대주택 임대사업을 하는 이준녕 씨.

올해부터 집 지을 때 처리해야 하는 필수 절차가 하나 늘었습니다.

새 건물에 부여된 '도로명 주소판'을 붙인 뒤 사진을 찍어서 구청에 제출하도록 의무화된 겁니다.

[이준녕/다세대주택 임대사업자 : 처음에 시행할 땐 전문업체가 없었기 때문에 우리가 임의로 플라스틱판 이런 데다 만들어서, 그러다 보니까 아무래도 규격이 좀 안 맞고….]

이른바 새 주소 인증샷을 제출해야 건축허가를 받을 수 있도록 절차가 까다로워진 겁니다.

[김기국/최근 새 건물 건축 : 생돈 들어가는 것 같고…의무적으로 하라니까 시행에 따르는 것뿐이죠. 그런데 큰 의미는 없을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

도로명 주소 때문에 가장 애를 먹는 사람들은 택배기사들입니다.

익숙하지 않은 새 주소를 보고 일일이 찾아야 하니 바로 옆길에 있는 집도 모르고 지나치기 일쑤입니다.

[최은성/택배업체 관계자 : 도로명주 소라는 게 한 곳을 찾아가기엔 쉬운 주소인데요. 여러 곳을 찾아가야 하는 입장이다 보면 배송할 수 있는 루트도 짜야 되고 해서… 그런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 같습니다.]

[조명래/단국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부 교수 : 우리 현실과 너무 유리된 새로운 제도라고 봐야 되겠죠. 탁상에서 디자인했던 것과는 달리 번지 수에 익숙한 우리 시민들한테는 그 제도가 '너무나 먼 당신'입니다.]

미로형 지역이 대부분인 우리 현실에서 규칙성을 가지는 도로명 주소 체계를 쉽게 인식하기 어렵다는 겁니다.

예산만 3천700억 원이 투입된 도로명 주소 체계는 국민의 공간인식 자체를 개선해야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더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 없이는 새 주소가 정착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영상취재 : 정상보·공진구, 영상편집 : 이승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