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해외진출, 고용의무화…청년 일자리 해법은?

<앵커>

대선후보 정책 진단, 오늘(25일)은 네 번째로 청년 백수 문제입니다. 청년 일자리를 늘려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겠습니다만, 방법론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한승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전체 실업률의 두 배를 넘는 청년 실업률.

심각한 청년 실업을 줄이기 위해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는 해외로 눈을 돌리자고 제안했습니다.

[박근혜/새누리당 대선 후보 : 우리 청년들이 글로벌 시장을 개척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일자리를 찾아가는 K-MOVE를 시작하겠습니다.]

청년 벤처의 해외 진출 지원과 해외 인력 채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해외 취업 장려금 제도를 공약했습니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는 청년 고용의 의무화를 내세웠습니다.

청년 고용 비율을 기업에 할당해 지키는 기업에는 장려금을 주고, 지키지 않으면 분담금을 물리겠다는 겁니다.

[문재인/민주통합당 대선후보 : 공공기관·공기업·300인 이상 되는 대기업들은 청년 고용 할당제, 그런 것을 도입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안철수 후보는 대기업의 청년 채용률 공개가 가장 눈에 띄는 대책입니다.

법적인 제재보다는 기업을 여론으로 압박해서 청년 고용을 늘리겠다는 생각입니다.

[안철수/무소속 대선후보 : 대기업과 공기업이 노동시간을 단축하고 청년들을 일정한 비율로 신규채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습니다.]

이른바 스펙 위주의 채용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각 후보들의 복안은 무엇일까요?

박근혜 후보는 '스펙 초월 청년 취업센터'라는 실습 위주의 교육 기관을 만들고 이 기관 이수자들을 공공기관이 우선 채용하는 방안을 내놓았습니다.

문재인 후보는 입사지원서에서 학력 기재란을 없애는 블라인드 채용제를 공공기관부터 도입해서 확대해 나가자는 구상을 밝혔습니다.

안철수 후보는 '청년 헬프 코리아 봉사단'을 만들고 여기서 1년간 봉사활동을 한 청년들이 입사원서를 내면 우대를 받게 하는 방안을 공약했습니다.

(CG : 장기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