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주민들이 나서서 쓰레기 '준법 감시'…이유는?

<앵커>

이렇게 된건 주민들이 지난 달 초부터 반입 규정을 엄격하게 적용하면서 준법감시에 나서고 있기 때문입니다. 규정을 지키자는 건 맞는 말이죠. 하지만 배경이 또 따로 있습니다.

이호건 기자입니다.



<기자>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 745억 원을 들여 매립지 위에 조성한 골프장입니다.

지난 6월 완공됐지만, 4개월이 넘도록 개장을 못 하고 있습니다.

아직 운영 주체를 정하지 못한 겁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관계자 : 개장하려면 물론 잔디는 깔려있지만 골프치는 부분하고 운영하는 건 좀 다른 부분이잖아요.]

당초 매립지공사가 직접 골프장을 운영하면서 지역 주민도 운영에 참여시킬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중앙정부가 운영을 민간에 위탁하라고 지시하면서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 : 공공기관의 정책방향이 있거든요. 공공기관은 핵심 업무가 있으니까 그쪽 중심으로 하고 민간이 할 수 있는 분야는 민간에 위탁하라 그게 큰 방향, 테두리거든요.]

운영참여를 약속받았던 주민 입장에선 당연히 반발할 수밖에 없습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주변에는 이렇게 곳곳마다 주민들이 설치한 현수막이 있습니다.

대부분 골프장에 대한 주민들의 참여를 보장하라는 내용입니다.

[이규호/수도권매립지 주민지원협의회 위원장 : 민간위탁이라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었던 문제이고, 주민 설명회까지 거쳐서 골프장으로 같이 하기로 약속된 부분입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민간위탁이라는 말이 나와서…]

주민과 정부사이에서 매립지 관리 공사 측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입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관계자 : 공사는 그냥 시끄럽게 만들지않고 가는게 좋겠죠. 공사 입장은 자회사가 (운영하는 것으로) 추진했었는데, 그것도 안되게 됐으니까 저희는 접었어요.]

지난 달 초부터 매립지 주변 주민들은 반입 규정을 철저히 적용하며 준법감시에 나섰습니다.

쓰레기 대란을 피하려면 근본적으로 반입이 금지된 쓰레기를 매립지에 버리지 않도록, 시민들의 분리수거등을 적극 유도하는 자치단체의 노력이 이뤄져야 합니다.

동시에 합리적인 해결책 마련을 위해 매립지 주변 주민들과 머리를 맞대고 설득해나가는 정부의 보다 유연한 태도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정상보, 영상편집 : 오노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