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포경 추진' 국내외 반발…정부 한발 물러서나

<앵커>

세계적으로 고래를 잡는 나라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생계를 위해 포경을 하는 미국 알래스카와 덴마크, 그린란드, 상업적으로 고래를 잡는 노르웨이와 아이슬란드, 과학목적으로 포경을 하는 일본이 전부입니다.

우리나라도 과학적 용도의 포경을 추진하는 건데 갈수록 반대가 거세지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 입장은 어떨까요?

정형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 4일 고래로 인한 어민 피해를 확인하기 위해 27년 만에 고래잡이 재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상업적 목적이 아닌 과학적 연구를 위한 포경으로 국제포경위원회도 인정하는 사안이라고 강조했지만 즉각 미국과 호주, 뉴질랜드 등 세계 각국이 우려를 표명하고 나섰습니다.

[로렌조 로자스/IWC 멕시코 대표 : 한국의 포경은 일본의 경우처럼 과학연구를 가장한 상업용이 될 것이 자명합니다.]

비난의 근거는 지난 1987년 과학적 목적의 포경을 허용한 일본입니다.

일본의 경우 포경 허용 이후 남극해 등 공해에서 연간 1000여 마리의 고래를 포획해 90% 이상을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우리 연근해에서만 고래를 잡아 과학 목적에만 쓰겠다고 해명했지만, 반발 여론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습니다.

결국 정부는 포경 이외의 다른 조사방법도 고려하겠다며 한발 물러섰습니다.

[강준석/농식품부 원양협력관 : 과학적 포경과 함께 고래를 죽이지 않고도 조사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그 방법도 같이 고려하겠습니다.]

해저 바닥에 레이저빔을 쏘는 방식과 고래에 바이오 칩을 부착하는 방식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포경 추진 가능성도 여전히 열어두고 있습니다.

국제환경단체인 그린피스는 우리 정부의 일부 입장 변화를 환영하면서도 과학적 포경 계획 자체를 철회하라고 거듭 촉구했습니다.

국제사회의 비난 여론을 감안할 때 내년 국제포경위원회에서 포경계획을 승인받을 가능성은 그다지 높지 않은 상태입니다.

과학적 목적을 명분으로 포경 허용 카드를 들고 나왔던 정부가 국내외의 거센 비판을 무릅쓰고 강행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영상취재 : 김영창, 영상편집 : 최혜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