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제유가 떨어졌다는데…휘발유값 '찔끔' 왜?

주유소 "국제 유가 변동시차 반영" 해명 여전

<앵커>

앞서 전해드린대로 군납 기름까지 훔쳐 팔 정도로 고유가, 고유가 하는데 사실 국제 유가는 한 달 넘게 하락하고 있습니다. 누구든지 이거 뭐야 할만 하지만 정유사 해명은 항상 똑같습니다.

서경채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의 한 주유소, 휘발유 1리터에 2400원이 넘습니다.

국제 유가가 하락세지만 여전히 높은 가격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국제 휘발유 값은 4월 둘째주, 내림세로 돌아서 지난주까지 리터당 101원이 하락했습니다.

이 기간 국내 휘발유값은 39원 내리는데 그쳤습니다.

상당수 주유소들이 지난 달에 비해 가격을 내렸지만 운전자들이 여전히 불만을 갖는 이유입니다.

[이승찬/운전자 : 지금 전혀 느낄 수는 없고요. 아직 금액이 높은 것 같습니다.]

주유소 업계는 국제유가 변동이 2주 시차를 두고 반영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주유소 사장 : 그전에 산 게 있으니까 안 내리지. 내리긴 내리는데 많이 못 내리지…]

하지만 시민단체는 유가 상승기엔 국제가격이 한 달에 40원 오를 때 국내 판매가격도 그만큼 상승했다고 주장합니다.

국제유가가 오르고 내릴 때 국내 휘발유값에 반영되는 속도가 다르다는 얘기입니다.

[김재옥/소비자시민모임 회장 : 경쟁이 안 일어나고 있는 그런 구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아무리 국제 유가가 내려도 내려가지 않는 그런 구조가 되는 것이 아닌가.] 

정부는 경쟁을 통한 가격 결정이 필요하다고 보고 다양한 대책을 내놨습니다. 

[윤원철/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 전자상거래, 혼합판매 문제 이런 것들이 다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면 저는 긍정적으로 시장에 반응이 나타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정부의 유통구조 개선대책도 단기간에 효과를 거두기 어려워 오를 때 껑충, 내릴 때 찔끔이라는 소비자 불만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박영일, 영상편집 : 김형석)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