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3년 된 LCD TV 고장 났는데…"부품 없으니 새 것 사라"

<8뉴스>

<앵커>

텔레비전이나 냉장고 같이 비싼 가전 제품을 한번 고장 났다고 2, 3년 만에 바꿔야 한다면 큰 낭비겠죠? 그런데 업체들이 부품이 없다며 새 제품을 사라고 유도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박현석 기자입니다.



<기자>

박정훈 씨는 3년 동안 창고에 넣어뒀던 브라운관 TV를 다시 꺼내 사용하고 있습니다.

3년 전 180만 원 주고 구입했던 46인치 LCD TV가 고장 났는데, 제조업체가 부품이 없어 고칠 수 없다고 통보했기 때문입니다.

[박정훈/경기 안양시 : 처음에 수리비가 한 70만 원 정도 들어간다 하길래, 정말 많이 망설이다가
그럼 수리를 하자. 어차피 2년 된 거 10년은 쓸 텐데.]

제조업체는 수리 대신, 감가상각을 따져 63만 6천 원을 보상했습니다.

[박정훈/경기 안양시 : 2년 밖에 안된 TV 판넬이 없다는 게 상식적으로 이해 안되더라고요.]

TV 등 가전제품들의 부품 보유기간은 6년에서 8년.

부품이 없어 수리하지 못했다는 소비자 신고가 한 달에 수십 건씩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되고 있습니다.

제조사는 부품 업체로 책임을 떠넘김니다.

[업체 관계자 : 부품 업체가 도산하거나 해당 제품이 여러 사유로 단종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 경우 소비자 보호법에 의거해 감가상각 등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진짜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부품 보유기간은 권고 사항일 뿐 강제력이 없는데다, 제조사 입장에서는 부품 유지보다 현금 보상을 하더라도 새 제품을 파는 게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부품이 없다고 해서 새 제품을 구입했더니, 뒤늦게 제조업체가 부품을 들고 나타난 경우도 있습니다.

노부부만 사는 이 작은 집에 김치 냉장고가 2대가 된 사연도 그래서입니다.

[김옥순/인천 용현동 : 다 썩으니까 빨리 좀 해달라 그랬더니 부품이 없어서…구하지 못한다고 해서 들여 놓은 거 아니냐고 그랬더니 말을 못하더라고요.]

[조윤미/녹색소비자연대 본부장 : 잔여가치에 대한 계산법, 또 실제로 부품을 보유하지 않았을 때    소비자에게 배상해야 하는 금액에 대한 부분을 좀 더 강화해야 할 필요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부품만 갈면 더 쓸 수 있는 제품을 그냥 버리고 새로 사도록 유도하는 업계의 행태는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킬 뿐 아니라 자원낭비로 직결되는 시정돼야 할 관행이 분명합니다.

(영상취재 : 임동국, 배문산, 이용한, 영상편집 : 최준식)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