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말로만 '상생'…대-중소기업 영역다툼 신경전

유통, 서비스 분야 적합업종 확대 선정 논란일 듯

<8뉴스>

<앵커>

정부는 중소기업 적합업종을 선정해서 특정분야에 대한 대기업의 진출을 막고 있습니다. 상생하자는 거죠. 하지만 업종을 선정할 때마다 논란이 끊이질 않았습니다. 올해는 제조업 뿐만이 아니라 유통, 서비스 분야까지 이 중소기업 적합업종을 확대 선정할 계획이어서 또 시끄러울 것 같습니다.

서경채 기자가 보도입니다.



<기자>

정부 중앙부처에 PC를 납품하는 문제를 놓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치열한 영역 다툼을 하고 있습니다.

공공 조달시장에서 중소기업은 50%까지 보장해 달라, 대기업은 안된다고 다투는 겁니다.

결국 동반성장위원회는 결정을 1년 뒤로 미뤄습니다.

동반성장위가 이미 결정한 문제를 놓고도 된다 안된다 서로 싸웁니다.

외부 전기를 각 사무실에 분배해주는 배전반입니다.

동반성장위는 대기업의 사업축소를 결정했지만 관련 기업들은 반발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 업종을 둘러싼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신경전은 올해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동반성장위가 지난해 제조업 82개 품목에 이어 올해는 유통, 서비스업, 농축산물 업종에서 중소기업 적합업종을 선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골목 상권을 위협하고 있는 기업형 슈퍼마켓과 프랜차이즈 업종을 놓고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신경전은 이미 시작됐습니다.

[유광수/중소기업중앙회 동반성장실장 : 그 대기업들이 마진을 많이 가져감으로써 소상공인들이 이제 어렵게 되면은 그런 부분들도 사업을 철수하게 하거나, 조정을 하거나.]

[임상혁/전경련 산업본부장 : 영세기업의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지 시장을 나눠서 대기업을 철수시키고 그 일부를 나머지 중소기업이 나눠 먹는 식의 나눠먹기 식으로 가가지고는 어렵다.]

유통과 서비스 분야에는 우리 기업 열에 아홉, 전체 300만 개가 넘는 업체가 속해 있어서,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을 둘러싼 다툼이 벌써부터 치열한 갈등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박대영, 영상편집 : 김선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