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총기 제압' 말은 쉽지만…조폭 대응 지침 허술

<8뉴스>

<앵커>

조현오 경찰총장이 총기를 사용해서라도 조폭을 잡으라고 지시했지만, 경찰 내부에서는 그게 말처럼 쉬운 게 아니라며 회의적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김종원 기자입니다.



<기자>

[경찰 : 경고합니다. 나중에 처벌할 거니까 알아서 행동하세요.]

100명이 넘는 조직폭력배가 눈 앞에서 난투극을 벌이고 있는데도 손을 못쓰고 방송만 하는 경찰.

이럴 땐 어떻게 행동하도록 지침을 내리고 있는지 경찰의 '조직 폭력 수사 매뉴얼"을 입수해 살펴봤습니다.

[경찰 관계자 :  현장 근무자들이 더 쉽고 간단하게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조목조목, 딱딱 정해 놓은 것을 매뉴얼이라고 보면 되겠죠.]

하지만 매뉴얼 내용을 보면 어떻게 행동을 하라는 건지 도무지 명확하지가 않습니다.

각종 기자재를 휴대하라, 광법위하게 출입금지구역을 설정하라, 상황 추이에 따라 적절히 지휘하라 같이 원론적이고 애매한 표현 투성입니다.

어떤 상황에 총기를 사용하며, 어떤 상황에서 해산을 시켜야 하는지 구체적인 행동요령이 없습니다.

이러다 보니 일선 경찰들은 인천 장례식장 난투극의 경우도 현장에서 신속히 해산시키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일선 경찰관 : 조문객을 조폭이라는 이유만으로 체포하겠어요? 거기(장례식장)서 슬픔을 같이 하겠다고 하는데, 해산시키실 거예요? 조문객인데?]

행동 지침이 허술하다 보니 총기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라는 경찰청장의 지시도 일선 형사들에겐 오히려 논란거리입니다.

[일선 경찰관 : 아무리 발포하라고 해도 사용요건에 맞춰서 하는 것이지 위에서 발포하라고 무작정 발포하는 것도 아니고···.]

경찰은 우왕좌왕하고 있는 반면 조직폭력배는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말 100억 원 넘는 연매출을 올리는 코스닥 상장사를 인수해 회삿돈을 빼돌린 폭력조직이 경찰에 검거되는 등 유흥업소를 주무대로 하던 조폭이 최근엔 금융시장으로까지 진출하고 있는 겁니다.

주가 조작이나 기업인수 등에 손을 뻗친 이른바 지능형 조폭은 약 190개 조직, 400명에 이른 것으로 추산됩니다.

갈수록 교묘해지는 폭력조직을 공권력이 쫓아가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임우식, 편집 : 위원양, VJ : 김형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