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둑 대신 자전거도로…제방공사 멈춘 새 하천 범람

<8뉴스>

<앵커>

경기도 광주시가 곤지암천 범람과 관련해 인재라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조제행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곤지암천을 끼고 있는 경기도 광주시 도평리.

다리 난간은 흔적없이 사라졌고, 하천변 건물은 쑥대밭이 됐습니다.

더 하류쪽인 지월리에서는 제방이 무너져 주변 공장이 침수됐습니다.

[염병철/피해 주민 : 재작년에도 다 넘어졌었어요. 그런데도 보강을 안 해주니까.]

광주시는 지난 2006년부터 오는 2014년까지 경기도에서 예산 202억원을 지원받아 시행하는 하류 홍수방지 공사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늑현리에서 대쌍령리까지 3.8km 구간은 공사를 끝냈고, 대쌍령리부터 지월리까지 1.6km는 아직 공사를 시작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이번 폭우로 피해를 입은 곳은 모두 대쌍령리 인근 지역으로 홍수방지공사를 하지 못한 곳입니다.

[경기도 광주시 직원 : (홍수공사는) 도비 100%를 받아 하는 사업이에요. 우리는 마무리 지으려고 하는데 도에서 예산을 주는 것에 달렸습니다.]

광주시는 "올해 공사비로 경기도에 118억원을 요청했지만 고작 8억원을 지원받았다"면서 경기도 측에 책임을 돌렸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80억원을 들여 자전거도로를 만들면서도 제방공사는 제대로 하지 않은 광주시도 책임을 피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무너진 제방 옆으로는 보시는 것처럼 자전거도로가 놓여져 있습니다. 올해 6월에 완성된 새 도로입니다.

자전거도로는 이번 폭우로 대부분 파손돼 공사를 거의 다시 해야할 실정입니다.

[이정선/피해 주민 : 제대로 해놓지도 않고 이 필요없는 자전거 도로를 왜 만드냐 이거예요. 여기 둑을 먼저 제대로 해놓고.]

예산 문제로 제방공사가 더디게 진행되는 사이 곤지암천은 21년 만에 범람해 주민들에게 큰 피해를 안겼습니다.

(영상취재 : 임우식, 영상편집 : 김경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