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자율규제' 대안 마련…스마트폰 활용 수업 준비

<8뉴스>

<앵커>

이러다보니 현직 교사들의 65%는 '학생들의 휴대폰 사용이 수업에 방해가 된다' 이렇게 말을 했고요. 무려 96%가 '휴대폰을 강제로 규제해야 한다'라고 답을 했습니다. 전국의 초·중·고등학교 가운데 휴대폰 소지 자체를 금지하는 학교가 10%, 그리고 등교할 때 수거했다가 하교할 때 돌려주는 학교가 37% 정도였습니다. 반면에 수업만 방해하지 않으면 규제하지 않는다는 학교들이 5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무조건적인 규제가 능사는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여기서, 대화와 협의로 학생들의 자율통제를 이끄는 학교를 한번 찾아가 보겠습니다.

김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 구로구의 한 고등학교.

등교하자마자 한 학생이 검은 가방을 들고 교탁으로 나갑니다.

학생들이 선뜻 휴대전화를 내놓고, 수거된 휴대전화는 담임 선생님이 보관합니다.

[강혜영/구현고등학교 3학년 : "진짜 안 내." 이러는 애들은 없어요. 어차피 선생님한테 가면 다 다시 쓸 수 있는 거니까, 자기 필요할 때는.]

모든 게 교칙을 정하는 회의에서 학생들이 참여한 가운데 결정됐기 때문에 거부감이 없습니다.

[윤혜미/구현고등학교 교사 : 사실은 저희가 교사들이 억압적으로 처음에 시작하자 라고 해서 시작한 게 아니라, 아이들이 학생회에서 토론을 통해서 이끌어 낸 사항들이기 때문에….]

이보다 더 전향적인 자세로 휴대전화 문제를 해결하는 학교도 있습니다.

인천 송도신도시의 한 고등학교.

학생들이 복도에서 휴대전화로 게임도 하고, 휴대전화 속 사진을 보며 장난도 칩니다.

올해부터 전면 이동식 수업을 하고 있는 이 학교는 학생들의 위치파악과 교실안내 등을 위해 휴대전화 수거를 중단하고 자율에 맡겼습니다.

수업시간에 무단으로 사용할 때만 벌점을 주기로 처벌도 최소화 했는데 수업분위기까지 좋아지는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박지현/인천해송고등학교 1학년 : 아무래도 핸드폰을 가지고 있다 보니까 수업시간에   자꾸 하게 되기도 하는데, 그게 시간이 지나다보니까 스스로 자제가 돼요.]

이 학교는 교내에 와이파이 망을 설치해 무료 인터넷을 쓸 수 있도록 했고, 다음 학기부터는 스마트폰을 적극적으로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 준비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도 엄격한 규제와 처벌만이 능사는 아니라고 지적합니다.

[신종호/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살아있는 규칙을 만들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해서 그 규칙을 정하고 거기에 따르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학교별로 교사와 학생이 머리를 맞대면 교육당국에서 내놓는 일률적 규제보다 훨씬 실효성있는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영상취재 : 노인식, 김세경, 영상편집 : 박선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