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검찰 "수사지휘권 훼손"…경찰 "오랜 숙원 풀어"

<앵커>

이렇게 되자 당사자인 검찰과 경찰의 표정은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습니다. 검찰은 '조직적 반발', 경찰은 '환영' 이렇게 요약할 수 있습니다.

한승환 기자입니다.

<기자>

경찰의 수사 개시권을 법에 명문화하는 쪽으로 여야가 의견을 좁혀가고 있는 가운데 검찰 내부 전산망에는 이를 비판하는 검사들의 글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법률전문가인 검사가 수사 초기부터 틀을 잡아주는게 무슨 잘못인가", "10만이 넘는 경찰에게 수사권을 주면 무소불위의 권력이 된다"며 검찰의 수사지휘권이 크게 훼손된다는 지적입니다.

어제(17일) 동안에만 대전과 울산지검 등 14개 검찰청에서 평검사 전체회의가 열렸고, 일부에서는 전국 평검사 회의를 열자는 움직임까지 일고 있습니다.

서울중앙지검 검사들도 연일 수석 검사회의를 연 데 이어 이르면 내일 평검사회의를 여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오랜 숙원을 풀게 됐다며 내부 결속을 다지고 있습니다.

어제 국회에서 열린 수사권 조정 관련 공청회엔 2천명이 넘는 경찰관이 몰려 마치 경찰의 궐기 대회를 방불케했습니다.

[최경덕/창원 중부경찰서 경정 : 사실상 수사를 하고 있는 경찰에게 최소한의 권한을 주는 것은 아주 꼭 필요한 제도라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수사권 조정 논의가 검, 경의 조직 이기주의로 흐르면서 정작 국민들은 잊혀지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