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환율-IMF 개혁 빅딜…의장국 중재 리더십 빛났다

<8뉴스>

<앵커>

이번 합의로 다음달 서울 G-20 정상회의가 강국들의 '환율 전쟁터'가 되는 일은 막았다는 평가입니다. 이렇게 갈등을 봉합한데는 의장국인 한국의 중재가 큰 역할을 했습니다.

정호선 기자입니다.

<기자>

이번 회의는 자국의 통화가치를 내려 수출확대 등 국익을 극대화하려는 미국-중국간 환율 갈등에, 일본과 남미, 유럽까지 가세한 '환율전쟁'이 날로 거세지는 가운데 열렸습니다.

회의 시작과 함께 미국 등 G7 선진국들은 공동전선을 구축하며 위안화 절상을 압박했고, 중국은 관련국들과의 회담에 일절 응하지 않으며 팽팽한 신경전이 이어졌습니다.

우리 정부는 선진국과 신흥국의 '가교' 입장에서 연쇄 양자접촉과 실무자 논의를 통해 절충안을 좁혀갔습니다.

중국 등 신흥국이 시장이 결정하는 환율제도 이행안을 수용하는 대신, 신흥국에 대한 IMF 지분 이전량을 늘려주는 이른바 '빅딜'을 시도해 서로 명분을 살려줬습니다.

[가이트너/미국 재무장관 : 흑자국들은 수출 의존도를 줄이고 내수를 확대하는 방향으로의 정책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당초 환율문제에 밀려 주목을 받지 못했던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 의제도 회원국들의 승인을 이끌어 냈다는 점에서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입니다.

하지만 한계도 지적되고 있습니다.

환율이나 경상수지 등의 합의 내용이 기본적으로 방향성을 제시한 것일 뿐 구속력을 담보한 게 아니란 겁니다.

특히 환율의 경우 중국이 고정환율제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시장 결정적'이라는 문구가 의미를 가질 수 있겠냐는 의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단 이번 회의가 환율갈등 진화를 통해 다음달 서울 정상회의에서 다른 중요한 의제에 대한 합의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한 부분입니다.

(영상취재 : 김성일, 영상편집 : 최진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