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타임오프제 시행 두 달…공공부문 곳곳 파열음

<8뉴스>

<앵커>

노조 전임자 수를 법으로 제한하는 타임오프제가 시행된지 두 달이 지났는데요. 민간부문에서는 비교적 빠르게 정착되고 있지만, 공공부문에서는 곳곳에서 파열음이 나고 있습니다.

김형주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조합원수 3400명인 국민연금 노조의 파업출정식, 7층 높이 건물에서 아찔한 고공시위가 벌어집니다.

타임오프제에서 허용되는  최대 7명의 전임자수를 인정해 달라며 노조측이 실력 행사에 나섰습니다.

가스공사 등 25개 다른 공기업 노사도 비슷한 이유로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이들 노조는 최소한 타임오프제가 보장하는 전임자 수만큼은 인정받아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사측은 정부의 공기업 구조조정 계획으로 인력 감축이 예정돼 있는 만큼, 전임자수도 미리 줄여놔야 한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습니다.

[배성훈/국민연금공단 경영지원실장 : 조합원 수 3400명 까지도 법에서 꼭 7명을 인정해줘라 하는 것은 아니고요, 7명까지 인정할 수 있기 때문에 뭐, 6명도 될 수 있고 5명일 수도 있고…]

전임자 수를 둘러싼 노사간의 입장차 때문에 공공부문의 타임오프제 관련 단협 체결률은 58%로, 민간기업의 70%보다 훨씬 저조합니다.

정부는 타임오프제를 무력화 시키는 행위는 좌시하지 않는다는 입장이어서, 노조 전임자 수를 둘러싼 공기업 노사 갈등이 노동계의 불안요인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홍종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