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북 쌀 지원만큼은 찬성하는 까닭…쌀의 정치학

<8뉴스>

<앵커>

지난 한 주는 정부의 쌀 재고 대책이 발표되고, 대북 쌀 지원 촉구 목소리가 높아지는 등, 쌀이 정치권의 화두가 됐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쌀은 단순한 식량 차원을 넘어선 상징성 때문에 항상 정치적으로도 주목받아 왔는데요.

이른바 '쌀'의 정치학을 정하석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기자> 

우리 사회에서 쌀은 단순한 식량 이상의 정치 사회적 의미를 지녀왔습니다.

쌀에 담긴 '농심'이라는 표현은 곧 '민심'이었습니다.

5년전 추곡수매 제도가 폐지되기 전까지 정치권이 '쌀 수매가'를 둘러싼 힘겨루기를 연례행사처럼 반복했던 것도 쌀의 정치적 상징성 때문이었습니다.

군사 정권의 친 서민 이미지를 위해 농심이 활용됐던 것도 같은 이유였습니다.

[대한뉴스 1410호 (1982년) : 삼천여가마를 수매한 혼잡스런 분위기에 있던 농민들은 전두환 대통령의 갑작스런 방문에 놀라면서도, 농민들에게 이토록 관심을 보여준 데 대해 고마운 표정을 나타냈습니다.]

대북 쌀 지원도 본질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정치권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여야 할 것 없이 대북 쌀 지원을 하자는 입장입니다.

쌀값 하락에 따른 농심을 우선적으로 생각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대북 지원과 관련해 '보수단체는 반대, 진보단체는 찬성'이라는 일반적 예상과 달리, 한나라당이 대북 쌀 지원에 동조하는 것도 이런 쌀의 정치학과 무관치 않습니다.

[이재오/특임장관 : 인도적 차원에서 쌀 문제를 지원할 수 있는 그런 기회가 있는지 그것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박지원/민주당 원내대표 : 우리 농민들의 시름을 덜고 북한 동포를 살리는 일거양득의 일을 해 주실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합니다.]

그러나 계속되는 산업화 도시화로 쌀의 위상이 예전만 못한 것은 사실입니다.

지난 1970년, 전체 인구의 절반에 달하던 농업인구는 7%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농촌 지역 인구가 계속 줄면서 농촌 지역 국회의원 숫자도 함께 줄었습니다.

밥 없으면 못산다는 사람들이 줄어들고, 젊은 세대로 갈수록 쌀의 의미도 퇴색해가고 있습니다.

'농자 천하지대본'으로 표현돼왔던 쌀의 정치적 영향력이 시대 상황의 변화로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정성훈)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