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광화문 615년, 영욕의 역사…수난 딛고 '우뚝'

<8뉴스>

<앵커>

조선 왕조와 대한민국의 얼굴인 광화문은, 6백년이 넘게 숱한 고난의 세월을 견디면서, 우리 역사의 아픔과 영광을 함께 했습니다.

광화문의 615년, 영욕의 역사를 하대석 기자가 돌아봤습니다.

<기자>

조선왕조 경복궁의 정문으로 태조 4년인 1395년 건립된 광화문.

최초 이름은 정문이었으나, 세종 7년 '왕의 큰 덕이 온 나라를 비춘다'는 뜻의 '광화문'으로 현판을 바꿔 달았습니다.

그 뒤 조선의 얼굴, 광화문은 우리 질곡의 역사와 아픔을 함께 해야 했습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광화문은 270여 년 만인 1865년, 흥선대원군이 벌인 경복궁 재건사업의 일환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김봉건/문화재청 문화재위원 : 조선 후기의 문루건축의 대표적인 그런 양식을 가지고 있고, 굉장히 뛰어난 미술사적인 정수가 모여있는 그런 건축물이 되겠습니다.]

광화문의 수난은 일제 시대를 피해가지 못했습니다.

조선의 정기를 꺾기 위해 일제가 경복궁 앞에 조선 총독부를 지으면서 광화문을 통째로 동쪽 건춘문 옆으로 옮긴 겁니다.

1950년 한국전쟁 중에는 목조로 된 문루 부분이 소실되고 맙니다.

이후 광화문은 1968년 박정희 전 대통령 재임 시절 다시 정문 자리로 돌아왔습니다.

그러나 소실된 문루 전체가 콘크리트 구조물로 복원된데다, 당시 도로에 맞추느라 기존 터에서 10여 미터 벗어난 곳에 지어져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이후 광화문 앞은 줄곧 권력의 변천과 민주화, 서민들의 애환을 웅변하는 우리 근현대사의 표상이었습니다.

[강홍빈/서울역사박물관장 : 광화문 거리의 아래에는 우리 근현대사 굴곡진 역사가 다 들어가있는 거에요. 살짝 그 뒤로 가면은 일상생활이 펼쳐지는 또 그런 서민의 자리이기도 했어요.]

광화문의 6백 15년 영욕의 역사는 영국 찰스 왕세자 재단에 의해 다큐멘터리로 제작되고 있을 만큼 세계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하워드 레이드/영국 다큐멘터리 감독 : 광화문은 한민족의 힘과 굴하지 않는 정신, 한국 문화의 아름다움을 함축하고 있는 실체입니다.]그리고 오늘(15일), 광화문은 한세기 반

만에 1865년 중건 당시 제자리에 온전히 복원돼 또 다른 역사를 써나가기 시작했습니다.

(영상취재 : 이원식, 영상편집 : 남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