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귀족 장신구로 쓰인 '비단벌레' 집단서식지 확인

<앵커>

천연기념물인 비단벌레의 집단서식지가 새로 확인됐습니다. 이 비단벌레는 색이 너무 아름다워 신라시대 때는 귀족들 장신구에 활용됐다고 합니다.

김범주 기자가 소개합니다.

<기자>

전북 부안의 변산반도 국립공원입니다.

천년고찰 내소사의 주변 나뭇잎 사이로 초록색 에나멜을 칠한 듯 광택이 나는 물체가 보입니다.

천연기념물 496호, 멸종위기종 2급인 비단벌레입니다.

짝짓기 하는 모습도 국내 최초로 화면에 담겼습니다.

위쪽이 암컷, 아랫쪽이 수컷입니다.

비단벌레는 옛날 신라시대 때만 해도 푸르게 반짝이는 날개를 귀족들 장신구 겉에 붙여 쓸 정도였지만, 어느샌가 그 수가 크게 줄었습니다.

[김기경/국립생물자원관 : 한 500~600년씩 된 커다란 나무 거기에서 그 썩어 있는 부분에서 주로 애벌레에서 성충으로 나오게 되는 것이죠. 죽었다고 해서 잘라내거나 하면은 그 서식지가 감소할 가능성이 아주 높죠.]

그런데 이번에 확인된 내소사 주변은 먹이가 되는 팽나무나 느티나무 고목이 많아서 다른 곳보다 서식지로 가치가 훨씬 안정적입니다.

[조영호/대전대 기초과학연구원 : 내소사에 계신 스님들 그리고 이 곳에 주민들이 자연환경을 잘 보존해놓아서 다른 어느 곳보다 훨씬 더 비단벌레의 밀도가 높다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앞으로 생태조사를 꾸준히 벌이는 한편, 지역주민과 함께 보호방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