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버스폭발' 예견된 사고…'뒷북 대응' 대체 왜?

<8뉴스>

<앵커>

현재, 서울에서 운행되고 있는 시내버스의 90% 이상이 액화천연가스, CNG 버스입니다. 그동안 안전성에 문제가 있단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됐었는데, 정부 대응은 왜 이렇게 안일했던 것일까요?

박민하 기자입니다.

<기자>

어제(9일) 사고 외에도 지난 2005년부터 지금까지 모두 8건의 CNG 버스 용기와 관련된 사고가 있었고, 4명이 다쳤습니다.

이 가운데 최소 5건이 용기 불량이나 손상 등에 따른 사고로 드러났습니다.

안전성 논란이 커지자 지난해 초 가스안전공사는 CNG 용기의 파손을 막기 위해 선진국처럼 CNG 용기를 버스 지붕 위에 설치하자는 내용의 연구 용역결과를 정부에 제출했습니다.

[CNG 차량 안전성 연구 용역 책임자 : 유지관리 측면에서 (CNG 용기가) 바닥에 있으면 도로에서 튀는 갖가지 오물들이 있지 않습니까? 돌 부스러기 비롯해, 수분, 겨울철에는 염화칼슘 이런 부분들에 노출이 되잖아요.]

3년마다 CNG 용기에 대한 정밀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는 권고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고압 가스 관리는 지경부, 차량 관리는 국토부 등 관리 업무가 제각각인데다, 비용 부담을 꺼리는 버스업계의 반발에 부딪혀 1년 이상 논란만 지속하다, 지난 달에야 겨우 정기 재검사 제도만 관련법 개정안에 포함시켰습니다.

[권상호/지식경제부 에너지안전팀장 : 버스가 출고될 때에 정밀 검사를 했고, 그 이후에는 약식 검사가 있었는데 앞으로 법이 개정이 되면 3년마다 한 번씩 정밀 검사를 하게 될 겁니다.]

지식경제부는 이번 사고와 관련해 CNG 버스의 가스누출 차단 장치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했지만,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비난을 사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박영철, 영상편집 : 김진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