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천안함' 북이 공격했을까?…사고원인 추측 난무

<8뉴스>

<앵커>

현재, 가장 걱정스러운 것은 이번 사고가 혹시 북한의 공격으로 발생한 것이 아니냐는 것입니다. 내부 충격에 의한 폭발이라면 그럴 가능성이 작지만, 아직 아니라고 단정 짓기는 이르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승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사고 발생 초기, 북한이 함정이나 해안에서 포격을 감행했을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하지만 우리 초계함은 서해 북방한계선 NLL에서 10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정거리가 10~20킬로미터인 북한의 해안포에 의해 피격당했을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북한의 함정이 NLL을 침범해 내려와서 공격했을 가능성도 상정해볼수 있지만 그런 징후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어뢰에 의해 격침당했을 가능성은 없었을까? 발사된 어뢰가 함정에 적중하는 장면입니다.

함정 전체에 강력한 폭발이 일어나면서 선체가 두동강 납니다.

하지만, 이번 사고의 경우 어뢰에 피격됐을 때 나타나는 선체 완파 현상이 없었던데다 음파 탐지기에도 어뢰가 포착된 정황도 없어 어뢰 공격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입니다.

우리 군과 주한 미군 모두 사고 전후 북한군의 특이 동향이 포착되지 않았다고 밝힌 점도 이런 분석을 뒷받침합니다.

그러나 북한 어뢰가 노후해 천안함을 반파시킬 만큼 화력이 강하지 않을수도 있어서 북한의 공격 가능성을 완전 배제하기는 어렵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또, 고의에 의한 것이 아니라 해도, 북한 영해에 설치해 놓은 기뢰가 남측으로 떠내려 와 우리 함정을 폭발시켰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김장수/한나라당 의원(전 국방장관) : 기뢰가 있다고 한다면, 수중에 있는 기뢰, 부유 기뢰가 아니고 수중에 계류 기뢰라고 합니까?]

[이기식 준장/합참정보작전처장 : 계류 기뢰는 떠 있는 것이고 (음향 기뢰?) 음향 기뢰같은 이런 것들은 해저에 있어서.. (반응이 있으면 폭발하는..) 네 그렇습니다.]

특히 우리정부가 사고원인에 대한 설명이 늦어지면서 확인되지 않은 추측들이 난무해 혼선을 가중시켰다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영상취재 : 최준식, 영상편집 : 김진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