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뉴스>
<앵커>
유럽의 재정위기 파문이 전세계 금융시장을 강타하고 있습니다. 경기부양하느라 나라 빚이 눈덩이처럼 불어났기 때문인데, 우리 상황은 괜찮은 걸까요?
홍순준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정부는 지난해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중소기업 지원과 일자리 창출 등에 씀씀이를 대폭 늘렸습니다.
그 때문에 나라 살림이 바닥 나자 채권 발행 등을 통해 국내외에서 돈을 빌려 메웠습니다.
이로인해, 국가부채는 지난해 9월말 기준으로 352조 4천 8백억 원, 한해 전에 비해 27% 늘었습니다.
정부는 별 문제 없다는 입장입니다.
[허경욱/기획재정부 1차관 : 국가부채 35.6% GDP 대는 것 중에서도 반이하가 이른바 적자성 부채고, 나머지는 다 외화자산 같은 것이 있는 자산이 뒷받침 되는 부채입니다.]
문제는 나라 빚 총액 보다 증가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점입니다.
국민 1인당 부담이 1,500만 원에 이르는 셈입니다.
[김완중/하나금융연구원 연구위원 : 국가부채가 결국 미래세대의 희생을 담보로 한다는 점을 봤을 때 미래소비 둔화를 초래하고 결국에는 일본과 같은 장기저성장 국면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유념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저출산 고비용 구조로 돈 쓸데는 많고 세금걷기는 힘들어지는 상황도 국가부채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정부는 재정적자를 축소하기 위해 중복사업을 줄이는 등 나라 씀씀이에 대한 대폭적인 구조조정 계획을 9월까지 마련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 김태훈, 영상편집 : 남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