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자동차 수리비 '제각각'…"최고 2배 이상 차이"

<8뉴스>

<앵커>

자동차 수리비가 제작 회사별로 '제각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동급 차종인데 같은 사고가 나도 수리비는 2배 이상 차이가 날 수도 있습니다.

이종훈 기자입니다.

<기자>

승용차에 더미를 태우고 시속 15km의 느린 속도로 충돌시켜 봤습니다.

앞범퍼와 헤드 램프 등이 충격에 찌그러집니다.

이어서 같은 속도로 뒷쪽에서도 충격을 가합니다.

보험개발원이 이처럼 승용차에 충격을 가하고 수리비를 분석한 결과 국산 승용차 17종이 모두 크게 달랐습니다.

소형차 가운데서는 GM 대우 라세티 프리미어가 117만 원으로 가장 낮았고, 르노 삼성의 신형 SM3는 268만 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2.3배나 차이가 납니다.

SUV 차량 가운데서는 현대 투싼 IX가 364만 원으로 가장 비쌌고, GM 대우 윈스톰 맥스는 268만 4천원이었습니다.

일부 소형차는 같은 충격을 가했는데도 중형차 보다도 수리비가 더 많이 들었습니다.

범퍼와 차체 사이에 충격 흡수 공간의 차이, 그리고 조금만 부서져도 통째로 바꿔야 하는 일체형 부품들이 많은 차들이 수리비가 높았습니다.

[박인송/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 팀장 : 범퍼와 엔진과의 공간이 비좁은 차의 경우에는 충돌시에 충돌에너지가 다른 부품으로 전달되어져서 이로 인해서 수리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사고 차량 수리비로 지급되는 보험금은 연간 3조 3천억 원.

수리비에 따라 운전자가 내는 보험료도 달라지는 만큼 안정성이 높고 수리비가 적게드는 차량을 선택하면 보험료를 아낄 수 있습니다.

(영상취재 : 주범, 영상편집 : 김호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