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갖은 비극과 문제 낳은 '재일동포 북송 반세기'

<8뉴스>

<앵커>

오늘(14일)은 북한과 조총련이 주도한 재일동포 북송 사업이 시작된 지 꼭 50년이 되는 날입니다.

당초 선전과는 달리 갖은 비극과 문제를 낳았던 재일동포 북송 반세기를 도쿄, 윤춘호 특파원이 짚어봤습니다.

<기자>

[1959년 일본 중계 방송 : 세계의 관심을 모은 북송선이 첫 출항합니다.]

정확히 50년 전인 1959년 12월 14일, 재일동포 975명이 일본에서의 차별과 학대의 기억을 뒤로한 채 일본 니가타항에서 북한 청진으로 가는 북송선에 몸을 실었습니다.

그로부터 25년에 걸쳐 일본인 6천 6백여 명을 포함한 9만 3천여 명이 '귀환 사업'이란 명목 아래 북한으로 갔습니다.  

이 재일동포 북송 사업은 재일동포들의 경제력과 노동력이 필요했던 북한과 골칫거리인 재일 한국인 문제를 정치적으로 해결하려던 일본 정부의 합작품이었습니다.

당시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의 항의를 철저히 묵살했습니다.

북한으로 간 재일동포들의 삶이 당초 기대와는 달리 비참했다는 것은 이 사업을 주도한 조총련도 인정하고 있습니다.

[조총련 관계자 : 일본이나 남한에 비하면 넉넉히 살 형편이 아니었잖습니까? 귀국한 (재일동포들도) 똑같이 고생한 것은 사실인지 모르겠습니다.]

특히 재일동포 남편을 따라 북한으로 간 일본인 여성들의 참혹한 생활상이 알려지면서 일본에서 북한과 조총련에 대한 이미지는 크게 악화됐습니다.

지난해에는 북송 사업을 주도했던 조총련을 상대로 일본인 처의 가족들이 손해 배상 청구 소송을 내기도했지만 시효가 지났다는 이유로 각하됐습니다.

(영상취재 : 안병욱, 영상편집 : 유재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