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현직검사 명의까지 도용"…마구잡이 '대포폰'

<8뉴스>

<앵커>

다른 사람의 이름을 도용해 마구잡이로 휴대전화를 개통시켜 팔아온 사람들이 적발됐습니다. 이런 전화들은 범죄에 이용되는 경우도 많은데  현직 검사까지 명의를 도용당했습니다.

심우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휴대전화 신규 가입자들이 판매점에 제출했던 신분증 사본들입니다.

이 신분증 사본들이 속칭 대포폰을 만드는 데 악용됐습니다.

휴대 전화 판매업자 40살 김 모 씨등 6명은 고객들이 남기고 간 신분증 사본과 위조한 서류들을 이용해 천 5백여 개의 대포폰을 만든 혐의로 적발됐습니다.

명의를 도용당한 피해자는 720여 명.

이 가운데는 현직 검사와 대학교수까지 포함돼 있습니다.

한 사람 이름으로 8개의 대포폰이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

[피해자 : 전혀 금시초문이에요. TV나 이런데 대포폰 어쩌구해도 다 나랑은 관계없다고 생각하잖아요. 나도 주인공이 될 수 있구나, 뼈저리게 실감하고 있어요.]

대포폰 업자들은 한 대에 10만 원에서 15만 원에 팔아 1억 3천만 원을 챙겼습니다.

유통된 대포폰의 상당수는 이미 범죄에 사용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피해자 : (경찰이)이 번호가 이게 내가 개설한 게 맞느냐, 모르는 번호다 했더니 얘기를 해주더라고요. 번호가 두 개 있는데 하나가 범죄에 사용됐다.]

이동 통신사들은 고객유치 경쟁과열로 가입자 확인에 소극적인데다 개인 판매업자들에 대한 관리도 소홀했던 것으로 드러냈습니다.

[이동통신사 관계자 : 서류를 완벽하게 가지고 왔는데 의심이 된다고 (번호를) 안 내주면 그게 또 고객불만 이슈가 되거든요.]

경찰은 달아난 판매 업자를 수배하고 이동통신 2개사의 관계자를 불러 조사를 벌일 예정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