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쌍용차 이제 어떻게 되나?…청산 절차 '불가피'

<앵커>

쌍용차가 결국 청산에 들어가면 무려 2만명이 직장을 잃고 가족까지 포함해 10만명의 생계가 막막해집니다. 청산을 피하려면 정부와 채권단의 지원이 필요하지만 양쪽 다 1원도 못준다는 입장입니다.

보도에 강선우 기자입니다.

<기자>

쌍용차 사측은 70일이 넘는 노조의 점거 파업으로 3천억 원 정도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법원에 회생 계획안을 제출해야 하는 다음달 15일까지도 생산시설이 정상 가동될지 미지수입니다.

채권단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 결단 없이는 청산 외에 다른 선택이 없다는 게 사측의 판단입니다.

6백여 협력업체들은 누적 적자가 더 커지기 전에 밀린 납품대금을 받기 위해 오는 5일 조기파산요구서를 법원에 제출하기로 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법원은 쌍용차에 대해 재실사를 벌이게 됩니다.

청산가치가 존속가치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법인 청산에 들어가고, 모든 고용에 대한 계약 해지와 함께 기존 주주들의 주식은 소각됩니다.

빚을 받아가는 순서는 담보를 쥔 산업은행이 1순위, 2순위는 직원들의 임금채권이고, 무담보인 협력업체들의 채권은 자칫 휴지 조각이 될 수도 있습니다.

채권단은 제3자 매각을 통해 새 법인 탄생을 원하고 있지만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이항구/산업연구원 기계산업팀장 : 쌍용차와 같이 브랜드가 취약하고 또한 차종에 있어서 경쟁력이 많이 떨어진 업체의 조기매각은 좀 어렵다고 보겠습니다.]

쌍용차의 내수시장 점유율은 2%에 불과하지만, 파산으로 이어지면 쌍용차와 협력업체 임직원 2만여 명이 직장을 잃게 되고, 쌍용차 의존도가 15%나 되는 평택의 지역경제에도 큰 충격이 예상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