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9개국 IP, 북한 없었다"…'사이버 북풍' 논란

<8뉴스>

<앵커>

국가정보원은 이번 사이버 공격이 19개 나라를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사이버 북풍 논란이 더욱 가열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영아 기자입니다.

<기자>

국정원은 오늘(10일) 저녁 6시 현재 한국과 미국, 일본, 과테말라 등 19개국 92개 IP를 통해 사이버 공격이 감행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습니다.

아직까지 북한의 IP가 이용된 증거는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국정원은 그러나 지난 달 북한의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한미 양국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예고한 점과 공격대상이 주로 보수단체인 점 등을 북한과 추종세력을 배후로 지목한 근거로 제시했습니다.

특히  북한 인민군 총참모부 정찰국 산하 사이버 공격부대인 110호 연구소가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 모의훈련을 한 사실도 포착됐다고 국정원은 밝혔습니다.

국정원은 사이버 공격 사흘전인 지난 4일 이미 징후를 포착했다고 국회 정보위에 보고해 "늑장대처로 피해를 키웠다"는 질책을 받았습니다.

북한배후설을 제기한 국정원이 정황외에 명확한 증거를 내놓지 못하면서 여야의 '사이버 북풍' 공방은 더욱 치열해졌습니다.

[김유정/민주당 대변인 : 사이버 북풍까지 만들어 내는 것이 가뜩이나 얼어붙은 남북관계 상황에서 정부가 할 일인지 참으로 기가 막힙니다.]

[안상수/한나라당 원내대표 : 사태 해결로 분주한 국정원을 비난하면서 사이버 안보 위기마저 정략적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한나라당은 "국회 차원에서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자"고 제안했지만 민주당은 "철저한 진상규명이 선행돼야 한다"면서 맞서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