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치열한 우주개발경쟁…우리나라의 현주소는?

<8뉴스>

<앵커>

우주인 1주년 기획 '신 우주시대를 연다' 오늘(10일)은 날로 치열해지고 있는 우주개발경쟁의 현주소를 짚어보겠습니다.

워싱턴 정승민 특파원입니다

<기자>

1957년 옛 소련의 스푸트니크 발사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모두 9개나라가 로켓 자력 발사에 성공했습니다.

특히 미국과 러시아는 전세계 우주 개발 예산의 75% 이상을 쏟아 부으며 화성을 비롯한 행성 탐사를 주도해왔습니다.

1970년대 이후 중단됐던 달 탐사활동이 내년부터 재개될 예정이어서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 개발 경쟁도 다시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유럽 연합도 우주 정거장에 실험실을 설치하고 무인화물선을 띄우면서 경쟁에 뛰어들었습니다.

후발 주자인 아시아에서는 일본과 중국이 위성 자력 발사와 달 탐사 위성 발사를 경쟁적으로 성공시켰습니다

뒤이어 중국이 먼저 유인 우주선을 발사하자, 일본은 뒤질세라 유인 우주 실험실을 설치했고 인도까지 달 탐사 위성발사에 성공하며 그 뒤를 바짝 쫓고 있습니다.

선진국보다 40년 늦게 뛰어든 우리나라는 소형 인공위성 제조의 경우 선진국의 70% 수준까지 쫓아 갔지만 핵심기술인 로켓 관련기술은 크게 뒤처져 있다는 평가입니다.

[장영근/한국항공대 교수 : 특히 액체 로켓같은 경우에는 거의 우리가 기반기술이 충분하지 못하다. 그래서 상당히 기술이 많이 낙후돼 있는 것으로 보시면 되겠고요.]

이미 한참 벌어진 선진국과의 격차를 줄여나가려면 지금부터라도 우주개발에 과감하고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