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부시방한 앞서 '부담' 사전정리…미국의 '독도셈법'

<8뉴스>

<앵커>

미국은 당초 독도 표기 변경이 정치적 고려와는 전혀 관계없는 '단순한 기술적 조치일 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우리 대사관측의 강력한 항의와 설득이 있었고 부시 대통령의 방한까지 고려해 결국, 정치적 해결의 길을 선택한 걸로 보입니다.

워싱턴 원일희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25일 오전 미 지명위원회의 데이터베이스인 지오넷에서 독도의 영유권 표기가 미지정 주권지역으로 바뀌자 이 사실을 몰랐던 주미한국대사관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이태식/주미대사 : 적기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한 데에 대해 주미대사로서 책임감을 느끼며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정부와 학계를 망라한 TF팀이 긴급 구성됐고, 미 정부를 상대로 한 전방위 외교가 시작됐습니다.

그러나 분쟁 불개입 원칙을 내세우는 미국 정부와 지명위원회의 입장은 흔들릴 기미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정치적 고려와 무관한 실무자들의 기술적 조치라며 우리 측 항의를 적당히 무마하려는 태도였습니다.

우리 정부는 같은 분쟁지역인 쿠릴열도나 센카쿠 열도와의 형평성을 제기하며 논리적 모순을 파고들었고, 한편으로는, 부시 대통령 면담을 통한 정면 돌파를 시도했습니다.

국무부와 백악관을 중심으로 이 사안의 정치적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고 결국 부시 대통령의 결단으로 이어졌습니다.

국무부는 그동안 오해가 있었다고 해명했습니다.

[매코맥/미 국무부 대변인 : 한국과 일본에 미국의 정책변화가 없다는 사실을 전달하려고 했는데, 오해가 있어서 유감입니다]

부시 대통령이 원상회복을 직접 지시한 것은 다음주 방한을 앞두고 한미간에 껄끄러운 사안을 미리 정리하려는 정치적 결단으로 분석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