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6살난 아이도 '가출'이라니.. 유괴 전담팀 절실

<8뉴스>

<앵커>

또 다시 강조할 필요도 없이 이번과 같은 어린이 실종사건 수사에서는 무엇보다 초기 대응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전문가도 없고 전문가를 키울 의지도 없어 보이는 게, 우리의 현실입니다.

김형주 기자가 문제점 지적합니다

<기자>

끊임없이 반복되는 어린이 유괴, 살해 사건, 지난 2000년, 집 앞에서 6살난 딸을 잃어버린 최용진 씨에겐 남의 일 같지 않습니다.

최 씨는 8년째 생업도 포기한 채 실종 전단지를 뿌리며 딸을 애타게 찾고 있습니다.

[최용진/실종 최준원 양 아버지 : 당시 만 5살 밖에 되지도 않았는데  '가출인 최준원' 이렇게 조서를 작성을 했어요. 말이 안되죠.]

아동실종신고는 해마다 급증해 2005년 2천6백여 건에서 2년 사이에 8천 6백여 건으로 늘었습니다.

끝내 생사조차 확인되지 않고 있는 실종 어린이도 1993년 이후 64명에 달합니다.

하지만 경찰은  여전히 뒷북수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유괴 사건의 대부분은 3시간 안에 살해로 이어지지만, 초동수사는 일선 지구대 경찰 등 전문성 없는 인력이 맡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윤호/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 순찰차 타는 사람들을 현장에 가서 보니까 전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현장이 훼손되게 되고 목격자를 확보하지 못하고..]

지난 2005년, 실종 아동을 발견한 사람에게 신고를 의무화한 실종 아동법이 제정됐지만,    장기 실종 사건에 도움을 줄 뿐 신속한 대응에 대한 규정이 없어 사실상 유괴, 납치 등의 강력 사건에는 별 효력이 없습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선진국처럼 경찰과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유괴사건 전담팀 제도를 도입해 수사 초기부터 신속한 판단을 내려야 한다고 말합니다.

현재 우리는 각 지방경찰청 단위로 전담반이 운영되고 있긴 하지만 인원이 고작 1-2명에 불과하고 그나마 겸직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제 시민 제보 등에만 매달리는 원시적인 수사 방식를 벗어나 범정부 차원의 점검과 대책마련이 필요한 때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