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번엔 산업단지? 정권따라 바뀌는 새만금 용도

<8뉴스>

<앵커>

해양 환경 파괴 논란이 높은 새만금 간척지를 이명박 정부가 동북아시아 최고의 경제중심도시로 개발하겠다고 나섰습니다.

농지 위주로 활용하겠다는 기존 정부 방침은 다시 뒤집히게 됐는데 문제점과 논란, 박수택 환경전문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새만금 간척사업의 원래 목적은 '농지 확보'입니다.

식량안보를 구실로 바다 갯벌생태계를 뒤집어놓은 국책사업의 방향이 다시 뒤집혔습니다.

[이동관/인수위 대변인 : 농지 72%로 규정된 구상을 농지는 30%로 줄이고 산업 관광 환경 등 기타 용도로 70%를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30만t급 배가 드나드는 항만과 해양물류단지, 산업단지, 관광단지, 다기능 복합부지를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전라북도는 바라던 방향이라며 환영하고 나섰지만 걸림돌도 만만치 않습니다.

갯벌지대에 농지와 달리 산업 단지를 세우려면 지반부터 높여야 합니다.

198㎢, 서울의 1/3이나 되는 넓은 지역을 돋우려면 막대한 양의 토사 구하기가 문제입니다.

이미 방조제 공사로 주변 석산은 거의 다 개발됐고, 바닷모래 퍼 올려 쓰기도 해저 지형과 환경 파괴 때문에 쉽지 않습니다.

전국의 각급 산업단지에서 남아도는 공간이 얼마인지도 분명하게 짚지 않으면 중복투자 낭비가 되고 맙니다.

전주, 김제 지역 개발도 예정돼 있는 상황에서 새만금이 대규모 경제중심지가 될 경우 급격하게 늘어날 물 수요도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

[안병옥/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 총선에서 지역에 그 주민들의 개발 심리를 자극해서 총선을 유리하게 이끌려고 하는 그런 정치적인 개선법이 작동하고 있는게 아닌가.]

농지조성기금으로 농지 만들겠다고 추진한 사업의 목적이 바뀌는만큼 법적인 정당성 문제도 걸립니다.

일관성 없는 용도 뒤집기로 새만금 문제는 다시 논란을 빚고 있습니다.

관/련/정/보 - SBS 환경전문기자 리포트

◆ 반달곰들 "겨울잠 안와요"…불면증의 원인은?

◆ 태안에 마구 뿌렸는데…"유화제 때문에 더 오염"

◆ 말로는 '철새 보호', 실제로는 철새 쫓는 공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