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형 건설사들, 정부 공사 '입찰 담합' 적발

하수관 공사서 '들러리 참가자'로 입찰 뒤 뒷거래…공사비 부풀려

<8뉴스>

<앵커>

정부가 추진하는 하수 시설 공사 입찰 과정에서 대형건설사들이 악질적인 담합행위를 벌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부풀려진 공사비는 고스란히 국민들의 부담으로 돌아왔습니다.

김용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2005년 아산시의 하수관거 정비사업 입찰에는 대우건설과 벽산건설 두 곳만 참여했습니다.

그나마 벽산은 들러리 참가자, 벽산은 대우가 우선협상자로 지정될 때까지 경쟁사 역할을 하고, 그 대신 벽산은 대우가 추진하는 울산신항사업의 지분 10%를 받기로 했습니다.

포스코건설과 금호산업, 경남기업도 김해시와 상주시의 하수관거 정비사업 입찰에 서로 역할을 분담해 참여했습니다.

[정재찬/공정위 카르텔조사단장 : 형식적인 경쟁사, 소위 들러리를 입찰에 참여시키는 방법으로 특정회사가 수주하도록 사전에 합의하고 이대로 실행한 것입니다.]

환경부가 4년 동안 5조 6천억 원을 투입하는 하수관거 정비사업 규모는 2005년 88%에 달했던 고시 공사비 대비 낙찰가격은 공정위의 조사 이후인 2006년 71.6%로 16.4%나 떨어졌습니다.

건설사들이 2005년 한 해 담합 입찰로 천6백40억 원을 더 타낸 셈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006년 남강댐 상류 하수도 공사 입찰에서도 쌍용과 에스케이, 금호산업이 서로 짜고 입찰에 참여했다고 밝혔습니다.

공정위는 대우와 SK, 포스코, 쌍용 등 7개 건설사에 모두 364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시정조치를 명령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