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일방적 기자실 축소로 '밀실 행정' 우려

대통령 말 한마디로 개편…유사한 기사 양산 등 문제점 속출

<8뉴스>

<앵커>

앞서 보도해드린 기자실 대폭 축소 방침과 관련해서 시민단체들은, 정부가 충분한 검토없이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따라 일방적으로 밀어 붙이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예상되는 문제점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승구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이번 기자실 개편 방안은 지난 1월 노무현 대통령 지시로 넉 달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마련됐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지난 1월 16일, 국무회의) :  몇몇 기자들이 죽치고 앉아서 기사의 흐름을 주도하고 만들어 나가는...]

우선 대통령의 말 한 마디로 충분한 논의 없이 개편 방안이 마련됐다는 절차 상의 문제가 있습니다.

[추혜선/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처장 : 정보 공유의 주체가 누구였는가, 주체들의 논의, 조율, 합의 과정이 무시됐다.]

실제로 검찰과 경찰 같은 곳은 수사 진행에 따른 보도 자제 필요성 등 보도의 특수성을 들어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지만, 반영시키지 못했습니다.

정부가 대안으로 제시한 합동브리핑도 문제입니다.

사무실, 공무원 접촉이 차단돼 브리핑 자료 의존도가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기자실 담합을 막겠다는 취지이지만 오히려 더욱 천편일률적인 기사를 쏟아낼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언론사 경영상태에 따라 취재 여건의 격차가 벌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김사승/숭실대 언론홍보학과 교수 : 마이너언론사는 사세라든지 취재인력 부족 때문에 충분히 취재를 할 수 없는 상황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메이저, 마이너 언론사 간의 격차는 심화될 수 있습니다.]

취재는 차단해 놓고 정보공개는 제대로 하지 않는 점도 짚어봐야 합니다.

정보공개 여부를 담당 공무원이 결정하기 때문에 응하지 않기 일쑤고, 공개해도 일주일 이상 걸리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정부의 이번 개편 방안은 오히려 언론의 감시 기능을 약화시키고 국민의 알 권리를 훼손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특히 차기 대선 주자들이 한 목소리로 이번 조치를 비판하고 나선 것도 실효성에 더욱 의문을 갖게 만듭니다.

한나라당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 열린우리당 정동영, 김근태 전 의장 등은 "국민의 알 권리를 위축시킬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언론의 취재 관행을 개선해보겠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일이라고 하지만 처방은 전혀 엉뚱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