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서울시, 퇴출후보102명 확정…80명 '현장으로'

<8뉴스>

<앵커>

서울시가 공무원노조의 강력한 반발속에 퇴출후보 공무원 102명의 명단을 발표했습니다. 설마 설마 하던 공무원 사회가 크게 술렁이고 있습니다.

박민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서울시가 최종 확정한 퇴출후보는 전체 직원의 1%에 해당하는 102명입니다.

연령별로는 50세 이상이 60%를 차지했고, 직급별로는 6급 이하가 93명으로 대부분이었습니다.

이 가운데 스스로 퇴직신청을 했거나 건강 문제로 특별관리가 필요한 22명을 제외한 80명이 사회봉사 활동이나 현장 업무에 배치됩니다.

[권영규/서울시 행정국장 : 현장업무 중에서 단속 업무 등 직접 시민과 부딪히는 업무는 투입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6개월 뒤 업무능력이나 근무태도가 개선됐다는 평가를 받지 못하면 바로 퇴출됩니다.

이들이 퇴출후보에 선정된 이유도 갖가지입니다. 

자기 업무는 팽개치고 자격증 취득을 위한 공부나 취미 서적만 읽는 경우.

그리고 민원전화를 받기 싫어서 자기책상 전화 벨소리가 아예 울리지 않게 해 두거나, 개인 빚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일은 뒤로한 채 동료의 숙직 근무를 대신하면서 수당을 챙긴 공무원도 있었습니다.

근무시간에 상습적으로 술을 마시거나, 여직원에게 성희롱을 한 경우도 포함됐습니다.

당초 퇴출 후보가 2,30명에 머물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100명을 넘자, 시청 직원들은 술렁였습니다.

노조는 기자회견장에 들어와 시장에게 항의하기도 했습니다.

[임승룡/서울시 노조위원장 : 시민단체와 연계해서 오세훈 시장이 그간 잘못한 행정이 법령위반, 조례위반, 이 사안에 대해서 자료를 가지고 주민소환. 직무정지까지.]

오세훈 시장은 퇴출 후보 선정 제도를 당분간 유지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습니다.

[오세훈/서울시장 : 이 정도면 됐다고 싶을 때까지 계속해서 이 제도를 시행해야 된다는 원칙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서울시는 공무원에 대한 상시 평가 시스템을 도입하고, 경력관리용으로 느슨하게 운영돼 오던 국내외 연수나 산하기관 파견 제도도 엄격히 관리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