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신도시 10만 가구 늘려서 부동산 문제 해결"

정부, 내일 부동산 대책 발표…환경·보상 문제 등 산적

<앵커>

송파와 검단을 비롯한 6개 신도시에 많게는 10만 가구가 더 지어집니다. 이렇게 되면 기존 공급 계획까지 해서 앞으로 5년 내에 수도권에서만 55만 가구 이상이 새로 공급되는 셈입니다. 정부는 내일 이런 내용을 발표합니다.

보도에 이민주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의 구상은 신도시의 개발 밀도를 높여 가구수를 늘리자는 내용입니다.

3기 신도시 가운데 택지공급 이전 단계인 송파와 김포, 양주, 평택, 검단, 파주 3단계 지역의 개발밀도를 ha당 30명에서 50명씩 상향조정할 방침입니다.

이들 6곳의 건설 예정 주택수가 27만여 가구인 점을 고려하면 많게는 10만 가구 가량 늘릴 수 있습니다.

정부는 또 그린벨트 해제 지역에 건설되는 국민임대단지도 용적률을 높여 공급 주택 수를 늘릴 계획입니다.

공급 물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대책, 하지만 문제점도 적지 않습니다.

우선 착공 이전 개발계획과 용지보상 단계에서 교통이나 환경 전문가들의 동의를 이끌어 낼 지 의문입니다.

[김용진/부동산뱅크 : 교통·환경 영향 문제, 주민과의 토지 보상 문제가 원만하게 해결되지 못한다면, 공급 로드맵 자체가 어긋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환경단체들은 신도시 사업을 집값 조절용으로 활용하는 것에 무엇보다 불만입니다.

[양장일/환경운동연합 : 교통, 사회, 환경 비용이 이미 10조 원에 달합니다, 1년 간.  수도권의 과밀화 현상에서 기초하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분산을 시키고 국토의 균형적인 발전을 취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방안입니다.]

정부가 내일 오후 발표할 부동산 대책이 과연 이런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