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퇴색된 장관상' 관련 공무원 실태 몰라

<8뉴스>

<앵커>

그제(19일)와 어제 연속 보도해 드린 장관상의 실태에 대해 많은 시청자 분들이 '어떻게 이런 일이'라는 반응을 보였는데, 그러나 당연히 책임을 져야할 해당 부처의 반응은 '뭘 그런걸 갖고' 였습니다.

박세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올해 자원봉사 대회에 장관상 60개를 몰아준 정부 부처를 찾았습니다.

담당자는 행사를 주최한 단체가 사전에 요청한 대로 상을 할당했다고 설명합니다.

[2005 봉사대회 담당 공무원 : 자기들이 선발해서 몇 명을 달라고 하면 우리가 그 단체가 사이비단체인지 그런 것만 판단해서...그 동안의 관리를 감안해서 주고 있지.]

또 다른 부처도 마찬가지.

일단 장관상이 만들어지면 계속 줄 수밖에 없고 상 숫자도 늘 수밖에 없다고 말합니다. 

[2005 글짓기대회 담당 공무원 : 전년도 행사 잘 하고 상 줬는데 올해는 왜 안 주느냐 그 상을. 이런 경우도 있어요. 그런 경우에 참 막막하다고...]

문화관광부는 지난해 각종 청소년단체에 장관상 2백18개를 내줬습니다.

지난 2000년보다 3배 이상 늘었습니다.

봉사활동 관련 행자부 장관상도 4년 동안 2백40개가 넘습니다.

각 부처는 장관상에 인색할 필요가 없다고 말합니다.

[돈 안 들고. 청소년단체가 워낙 영세한 단체들이니까. 그런 단체를 격려하다 보니까 조금 그런(상장이 남발되는) 부분은 있을 수 있겠죠.]

문제는 장관상이 누구에게,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사후 검증하지 않는다는 점.

[선생님이 (글짓기대회 작품을) 써주고 안 써주고 그런 거는 나는 알 바 아니고. 상장이 사고 팔리고 그런 걸 내가 어떻게 알아요.]

대학입시용으로 전락한 장관상.

정작 해당 부처는 이런 실태를 알지 못한 채 점점 커져가는 부작용을 외면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